본문 바로가기
2010.08.19 17:05

두껍다, 두텁다

조회 수 12119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껍다, 두텁다

얼굴에 철판을 깐 듯 뻔뻔한 사람을 가리켜 '철면피'라고 한다. 출세에 눈이 멀어 권력자에게 온갖 아첨을 서슴지 않았던 중국의 왕광원이란 사람을 두고 "그의 낯가죽은 열 겹 철갑처럼 '두텁다'"고 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 욕을 먹고 채찍질을 당하고도 웃어넘겼다는 왕광원의 얼굴처럼 '두께가 보통의 정도를 넘는다'고 할 때 '두텁다'라는 표현을 사용해도 될까? 이때는 "낯가죽이 두껍다"고 해야 한다.

 "모세혈관이 발달한 두꺼운 입술은 열대 지역에서는 체온 조절에 적합하지만 추운 지방에선 열 손실을 증가시킨다"처럼 물리적 두께를 나타내는 경우엔 '두껍다'를 쓰는 게 적절하다. '두텁다'는 "신임이 두텁다" "친분이 두텁다" "우정이 두텁다"와 같이 신의.믿음.관계.인정 따위가 굳고 깊다는 뜻이다.

 "두터운 옷 하나를 걸치는 것보다 얇은 옷을 여러 개 겹쳐 입는 게 더 따뜻하다"처럼 '두껍다'를 써야 할 자리에 '두텁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두껍다는 "구름층이 두껍다" "지지층이 두껍다"와 같이 층을 이루는 사물의 높이나 집단 규모가 보통보다 크다, 어둠.안개.그늘이 짙다는 의미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심정(心情)적 관계가 깊음을 나타낼 때는 '두텁다'를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4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287
2732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7177
2731 자웅을 겨루다 바람의종 2008.01.28 20861
2730 자욱길 바람의종 2008.01.26 11774
2729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499
2728 자문을 구하다? 바람의종 2010.05.05 14095
2727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431
2726 자문 바람의종 2008.11.15 5230
2725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511
2724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바람의종 2010.01.28 13390
2723 자리 매김 바람의종 2008.10.13 7100
2722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714
2721 자기 개발 / 자기 계발 바람의종 2011.11.24 12259
2720 자그마치 바람의종 2007.03.16 11626
2719 자(字) 바람의종 2011.11.15 10758
2718 잎, 잎새, 잎사귀, 이파리 바람의종 2009.10.02 15566
2717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84
2716 잊다, 잃다 바람의종 2009.11.23 12408
2715 있으매와 있음에 바람의종 2011.01.30 12625
2714 있사오니 / 있아오니 바람의종 2011.11.30 13139
2713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487
2712 있다가 / 이따가 바람의종 2010.10.21 10896
2711 있냐? 없냐? 바람의종 2008.09.23 90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