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19 17:03

한식 요리 띄어쓰기

조회 수 14184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식 요리 띄어쓰기

김치.비빔밥 등 한류 바람을 타고 세계 속으로 파고든 한식 요리는 최고의 건강식품으로 그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한식은 기본이 되는 밥.국.김치 외에 조리 방법에 따라 각종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찌개.전골.전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쌀밥.미역국.배추김치/ 시금치무침.생선구이.야채볶음.갈비찜.새우튀김.갈치조림/ 김치찌개.버섯전골.호박전' 등 그 재료가 조리법 앞에 붙어 요리 이름이 된다. 요리 이름 뒤에 붙는 조리법은 독립적인 한 단어다. 그러므로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에 따르면 요리 재료들과 조리법은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음식 이름이 될 때는 대부분 붙여 쓴다. 국어사전에 조리법 중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의 경우 음식을 뜻할 때는 붙여 쓰라고 돼 있지만, 국.찌개.전골.전 등에는 이러한 언급이 없다. 이 경우 사전에 없는 단어는 띄어 써야 하나, 붙여 써야 하나? 예를 들면 소고기로 끓인 국을 '쇠고깃국/ 쇠고기 국' 중 어떤 표기가 옳은가? 또 사전에 한 단어로 돼 있지 않은 '야채 찌개, 김치 전골, 버섯 전, 쇠고기 산적, 김치 부침개, 오징어 데침, 두부 지짐이' 등은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나? 국어사전에서 요리에 관한 통일된 띄어쓰기 원칙이 아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1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663
3128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98
312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490
3126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482
3125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30
3124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441
3123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555
3122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641
3121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843
3120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258
3119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643
3118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284
3117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608
311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506
3115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370
3114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627
3113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435
3112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334
3111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63
3110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546
3109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784
310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233
3107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