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19 17:03

한식 요리 띄어쓰기

조회 수 14333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식 요리 띄어쓰기

김치.비빔밥 등 한류 바람을 타고 세계 속으로 파고든 한식 요리는 최고의 건강식품으로 그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한식은 기본이 되는 밥.국.김치 외에 조리 방법에 따라 각종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찌개.전골.전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쌀밥.미역국.배추김치/ 시금치무침.생선구이.야채볶음.갈비찜.새우튀김.갈치조림/ 김치찌개.버섯전골.호박전' 등 그 재료가 조리법 앞에 붙어 요리 이름이 된다. 요리 이름 뒤에 붙는 조리법은 독립적인 한 단어다. 그러므로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에 따르면 요리 재료들과 조리법은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음식 이름이 될 때는 대부분 붙여 쓴다. 국어사전에 조리법 중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의 경우 음식을 뜻할 때는 붙여 쓰라고 돼 있지만, 국.찌개.전골.전 등에는 이러한 언급이 없다. 이 경우 사전에 없는 단어는 띄어 써야 하나, 붙여 써야 하나? 예를 들면 소고기로 끓인 국을 '쇠고깃국/ 쇠고기 국' 중 어떤 표기가 옳은가? 또 사전에 한 단어로 돼 있지 않은 '야채 찌개, 김치 전골, 버섯 전, 쇠고기 산적, 김치 부침개, 오징어 데침, 두부 지짐이' 등은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나? 국어사전에서 요리에 관한 통일된 띄어쓰기 원칙이 아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1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7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492
2556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54
2555 께 / 게 바람의종 2010.08.27 15955
2554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9018
2553 과 / 와 바람의종 2010.08.27 8610
2552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553
2551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33
2550 사리 바람의종 2010.08.26 10979
2549 은둔, 은신 바람의종 2010.08.25 10496
2548 냄새, 내음 바람의종 2010.08.25 10460
2547 거렁뱅이 바람의종 2010.08.25 11185
2546 딴따라 바람의종 2010.08.25 13064
2545 노닐다 바람의종 2010.08.25 11559
2544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627
2543 두껍다, 두텁다 바람의종 2010.08.19 12144
»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333
2541 아파, 아퍼 바람의종 2010.08.19 15432
2540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96
2539 준말들 바람의종 2010.08.19 10651
2538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3
2537 조조할인 바람의종 2010.08.17 16417
2536 엔간하다. 웬만하다. 어지간하다. 어연간하다 바람의종 2010.08.17 15261
2535 지지부진 바람의종 2010.08.17 110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