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19 17:03

한식 요리 띄어쓰기

조회 수 14095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식 요리 띄어쓰기

김치.비빔밥 등 한류 바람을 타고 세계 속으로 파고든 한식 요리는 최고의 건강식품으로 그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한식은 기본이 되는 밥.국.김치 외에 조리 방법에 따라 각종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찌개.전골.전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쌀밥.미역국.배추김치/ 시금치무침.생선구이.야채볶음.갈비찜.새우튀김.갈치조림/ 김치찌개.버섯전골.호박전' 등 그 재료가 조리법 앞에 붙어 요리 이름이 된다. 요리 이름 뒤에 붙는 조리법은 독립적인 한 단어다. 그러므로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에 따르면 요리 재료들과 조리법은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음식 이름이 될 때는 대부분 붙여 쓴다. 국어사전에 조리법 중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의 경우 음식을 뜻할 때는 붙여 쓰라고 돼 있지만, 국.찌개.전골.전 등에는 이러한 언급이 없다. 이 경우 사전에 없는 단어는 띄어 써야 하나, 붙여 써야 하나? 예를 들면 소고기로 끓인 국을 '쇠고깃국/ 쇠고기 국' 중 어떤 표기가 옳은가? 또 사전에 한 단어로 돼 있지 않은 '야채 찌개, 김치 전골, 버섯 전, 쇠고기 산적, 김치 부침개, 오징어 데침, 두부 지짐이' 등은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나? 국어사전에서 요리에 관한 통일된 띄어쓰기 원칙이 아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4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18
2732 응씨배 바람의종 2012.06.01 11389
2731 나발과 나팔 바람의종 2010.10.13 11389
2730 중뿔나게 바람의종 2007.05.22 11379
2729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375
2728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373
2727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71
2726 부기와 붓기 바람의종 2010.05.18 11367
2725 담배 한 보루 바람의종 2008.02.04 11365
2724 대중, 민중, 군중 바람의종 2012.01.08 11364
2723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61
2722 사람 이름 짓기 바람의종 2010.01.26 11359
2721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359
2720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358
2719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55
2718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52
2717 두루치기 바람의종 2009.05.25 11351
2716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349
2715 -지기 바람의종 2012.05.30 11348
2714 바지선 바람의종 2010.05.17 11346
2713 비치다, 비추다 바람의종 2008.09.18 11345
2712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42
2711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