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19 17:03

한식 요리 띄어쓰기

조회 수 14148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식 요리 띄어쓰기

김치.비빔밥 등 한류 바람을 타고 세계 속으로 파고든 한식 요리는 최고의 건강식품으로 그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한식은 기본이 되는 밥.국.김치 외에 조리 방법에 따라 각종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찌개.전골.전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쌀밥.미역국.배추김치/ 시금치무침.생선구이.야채볶음.갈비찜.새우튀김.갈치조림/ 김치찌개.버섯전골.호박전' 등 그 재료가 조리법 앞에 붙어 요리 이름이 된다. 요리 이름 뒤에 붙는 조리법은 독립적인 한 단어다. 그러므로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에 따르면 요리 재료들과 조리법은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음식 이름이 될 때는 대부분 붙여 쓴다. 국어사전에 조리법 중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의 경우 음식을 뜻할 때는 붙여 쓰라고 돼 있지만, 국.찌개.전골.전 등에는 이러한 언급이 없다. 이 경우 사전에 없는 단어는 띄어 써야 하나, 붙여 써야 하나? 예를 들면 소고기로 끓인 국을 '쇠고깃국/ 쇠고기 국' 중 어떤 표기가 옳은가? 또 사전에 한 단어로 돼 있지 않은 '야채 찌개, 김치 전골, 버섯 전, 쇠고기 산적, 김치 부침개, 오징어 데침, 두부 지짐이' 등은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나? 국어사전에서 요리에 관한 통일된 띄어쓰기 원칙이 아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42
3150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455
3149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457
3148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457
3147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462
3146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467
3145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470
3144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470
3143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471
3142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72
314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474
3140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476
313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483
3138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84
3137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485
3136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487
3135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492
3134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495
3133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97
3132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498
3131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05
3130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09
3129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5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