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30 20:15

찧다 / 빻다

조회 수 16516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찧다 / 빻다

옛 방앗간 풍경을 묘사한 글을 읽다가 '정미기가 없던 시절 벼를 빻던 디딜방아'라는 사진 설명을 봤다. '빻다'와 '찧다'는 어떻게 다를까. '찧다'는 곡식 따위를 절구 등에 넣고 쓿거나 부서뜨리기 위해 공이로 여러 번 내려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빻다'는 '짓찧어서 가루로 만들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찧다'는 '빻다'보다는 쓰이는 범위가 좀 더 넓다.

 곡물의 껍질을 벗겨내는 일 즉, 도정(搗精)을 표현할 때는 '찧다'만 쓰고 '빻다'는 쓰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아를 찧다, 벼를 찧다'가 옳고 '방아를 빻다, 벼를 빻다'라고 쓰면 안 된다. 부서뜨린다는 의미로 쓸 때도 '마늘을 찧다, 풋고추를 찧다'처럼 물기가 있는 것을 짓이기는 것을 표현할 때는 '찧다'가 좋으며 '밀을 빻아 밀가루를 만들다, 색깔 있는 돌을 빻아 음식처럼 차렸다' 처럼 마른 곡물이나 기타 단단한 물건을 가루로 만드는 작업에는 '빻다'가 어울린다.

 참고로 ''찧다''와 ''빻다''의 과거형을 표현할 때 ''찌었다/빠았다''로 쓰는 사람들이 간혹 있지만 이때는 ㅎ 받침을 그대로 살린 ''빻았다/찧었다''가 맞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3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20
2688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550
2687 단도리, 잡도리, 당조짐 바람의종 2010.08.05 14722
2686 다시방 바람의종 2010.08.05 10547
2685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2837
2684 헷갈리는 받침 바람의종 2010.08.03 10664
2683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559
2682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65
2681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53
»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516
2679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1287
2678 놀라다 / 놀래다 바람의종 2010.07.26 16861
2677 추호도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3814
2676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1990
2675 빌려 오다, 빌려 주다, 꾸다, 뀌다 바람의종 2010.07.25 18934
2674 쪼는 맛 바람의종 2010.07.25 11110
2673 훈방, 석방 바람의종 2010.07.23 14729
2672 쑥맥, 쑥, 숙맥 바람의종 2010.07.23 12503
2671 탕비실 바람의종 2010.07.23 10522
2670 혹성, 행성, 위성 바람의종 2010.07.21 11188
2669 바다가재, 바닷가재 바람의종 2010.07.21 11750
2668 진무르다, 짓무르다 바람의종 2010.07.21 19889
2667 쌀뜬물, 쌀뜨물 바람의종 2010.07.21 136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