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30 20:15

찧다 / 빻다

조회 수 16543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찧다 / 빻다

옛 방앗간 풍경을 묘사한 글을 읽다가 '정미기가 없던 시절 벼를 빻던 디딜방아'라는 사진 설명을 봤다. '빻다'와 '찧다'는 어떻게 다를까. '찧다'는 곡식 따위를 절구 등에 넣고 쓿거나 부서뜨리기 위해 공이로 여러 번 내려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빻다'는 '짓찧어서 가루로 만들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찧다'는 '빻다'보다는 쓰이는 범위가 좀 더 넓다.

 곡물의 껍질을 벗겨내는 일 즉, 도정(搗精)을 표현할 때는 '찧다'만 쓰고 '빻다'는 쓰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아를 찧다, 벼를 찧다'가 옳고 '방아를 빻다, 벼를 빻다'라고 쓰면 안 된다. 부서뜨린다는 의미로 쓸 때도 '마늘을 찧다, 풋고추를 찧다'처럼 물기가 있는 것을 짓이기는 것을 표현할 때는 '찧다'가 좋으며 '밀을 빻아 밀가루를 만들다, 색깔 있는 돌을 빻아 음식처럼 차렸다' 처럼 마른 곡물이나 기타 단단한 물건을 가루로 만드는 작업에는 '빻다'가 어울린다.

 참고로 ''찧다''와 ''빻다''의 과거형을 표현할 때 ''찌었다/빠았다''로 쓰는 사람들이 간혹 있지만 이때는 ㅎ 받침을 그대로 살린 ''빻았다/찧었다''가 맞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93
2688 일자리 바람의종 2009.06.29 6205
2687 일상어 몇 마디와 ‘-적’ 바람의종 2010.04.13 12467
2686 일사불란 / 사달 / 사단 바람의종 2009.03.08 11779
2685 일사불란 바람의종 2007.12.17 8066
2684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74
2683 일본식 용어 - 고~끼 바람의종 2008.03.06 10638
2682 일본식 용어 - 개~계 바람의종 2008.03.04 9934
2681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379
2680 일본식 용어 - ㅌ ~ ㅎ : "政治는 일본식 우리식은 政事" - 김성동 / 소설가 바람의종 2008.03.15 13222
2679 일본식 용어 - ㅊ 바람의종 2008.03.14 9090
2678 일본식 용어 - ㅈ 바람의종 2008.03.13 8631
2677 일본식 용어 - ㅇ 바람의종 2008.03.12 11843
2676 일본식 용어 - ㅅ 바람의종 2008.03.11 10531
2675 일본식 용어 - ㅂ 바람의종 2008.03.10 11223
2674 일본식 용어 - ㅁ 바람의종 2008.03.08 11284
2673 일본식 용어 - ㄴ ~ ㄷ 바람의종 2008.03.07 10914
2672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858
2671 일러두기 바람의종 2008.09.02 6412
2670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138
2669 바람의종 2009.07.31 7926
2668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205
2667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