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30 20:15

찧다 / 빻다

조회 수 16662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찧다 / 빻다

옛 방앗간 풍경을 묘사한 글을 읽다가 '정미기가 없던 시절 벼를 빻던 디딜방아'라는 사진 설명을 봤다. '빻다'와 '찧다'는 어떻게 다를까. '찧다'는 곡식 따위를 절구 등에 넣고 쓿거나 부서뜨리기 위해 공이로 여러 번 내려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빻다'는 '짓찧어서 가루로 만들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찧다'는 '빻다'보다는 쓰이는 범위가 좀 더 넓다.

 곡물의 껍질을 벗겨내는 일 즉, 도정(搗精)을 표현할 때는 '찧다'만 쓰고 '빻다'는 쓰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아를 찧다, 벼를 찧다'가 옳고 '방아를 빻다, 벼를 빻다'라고 쓰면 안 된다. 부서뜨린다는 의미로 쓸 때도 '마늘을 찧다, 풋고추를 찧다'처럼 물기가 있는 것을 짓이기는 것을 표현할 때는 '찧다'가 좋으며 '밀을 빻아 밀가루를 만들다, 색깔 있는 돌을 빻아 음식처럼 차렸다' 처럼 마른 곡물이나 기타 단단한 물건을 가루로 만드는 작업에는 '빻다'가 어울린다.

 참고로 ''찧다''와 ''빻다''의 과거형을 표현할 때 ''찌었다/빠았다''로 쓰는 사람들이 간혹 있지만 이때는 ㅎ 받침을 그대로 살린 ''빻았다/찧었다''가 맞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77
2688 추모, 추도 바람의종 2011.12.23 11362
2687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361
2686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361
2685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353
2684 꼬신 내 file 바람의종 2010.06.19 11341
2683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39
2682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39
2681 겁나게 꼬시구만! 바람의종 2010.07.09 11332
2680 신장이 좋다? 바람의종 2011.01.30 11322
2679 팥죽에 새알심 바람의종 2010.11.01 11317
2678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1314
2677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313
2676 ~ㄴ 바 바람의종 2010.11.02 11313
2675 ‘Mac-,Mc-’의 한글 표기 바람의종 2010.03.03 11312
2674 사시미, 스시, 스키다시, 락교, 와사비 바람의종 2012.09.04 11310
2673 짜장면과 오뎅 바람의종 2011.11.17 11309
2672 삼삼하다 風磬 2006.12.29 11307
2671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307
2670 줄잡아 바람의종 2007.03.26 11306
2669 배워 주다 바람의종 2010.01.23 11305
2668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304
2667 일본식 용어 - ㅁ 바람의종 2008.03.08 113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