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30 20:15

찧다 / 빻다

조회 수 16630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찧다 / 빻다

옛 방앗간 풍경을 묘사한 글을 읽다가 '정미기가 없던 시절 벼를 빻던 디딜방아'라는 사진 설명을 봤다. '빻다'와 '찧다'는 어떻게 다를까. '찧다'는 곡식 따위를 절구 등에 넣고 쓿거나 부서뜨리기 위해 공이로 여러 번 내려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빻다'는 '짓찧어서 가루로 만들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찧다'는 '빻다'보다는 쓰이는 범위가 좀 더 넓다.

 곡물의 껍질을 벗겨내는 일 즉, 도정(搗精)을 표현할 때는 '찧다'만 쓰고 '빻다'는 쓰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아를 찧다, 벼를 찧다'가 옳고 '방아를 빻다, 벼를 빻다'라고 쓰면 안 된다. 부서뜨린다는 의미로 쓸 때도 '마늘을 찧다, 풋고추를 찧다'처럼 물기가 있는 것을 짓이기는 것을 표현할 때는 '찧다'가 좋으며 '밀을 빻아 밀가루를 만들다, 색깔 있는 돌을 빻아 음식처럼 차렸다' 처럼 마른 곡물이나 기타 단단한 물건을 가루로 만드는 작업에는 '빻다'가 어울린다.

 참고로 ''찧다''와 ''빻다''의 과거형을 표현할 때 ''찌었다/빠았다''로 쓰는 사람들이 간혹 있지만 이때는 ㅎ 받침을 그대로 살린 ''빻았다/찧었다''가 맞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5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041
3282 악착같다 바람의종 2007.05.17 10195
3281 여염집 바람의종 2007.05.17 13636
3280 영락없다 바람의종 2007.05.18 10463
3279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503
3278 주책없다 바람의종 2007.05.22 8627
3277 중뿔나게 바람의종 2007.05.22 11461
3276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617
3275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552
3274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268
3273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707
3272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614
3271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728
3270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144
3269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300
3268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712
3267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388
3266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529
3265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207
3264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663
3263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138
3262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6053
3261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