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6 17:07

추호도 없다

조회 수 13838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추호도 없다

 "3000근은 족히 드는 사람이 새의 날개 하나를 들지 못하고, 가을의 동물 털끝까지 살필 수 있는 자가 수레에 가득 실은 장작더미는 보지 못한다면 믿으시겠습니까?" 맹자가 제나라의 선왕을 만나 임금이 왕도정치를 펴지 않는 것은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런 의지가 없음을 탓하며 든 비유다.

 '맹자'에 나오는 가을의 동물 털끝, '추호지말(秋毫之末)'은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다. '추호의' '추호도' 등의 형태에 대개 '없다' '않다'의 부정어가 뒤따라 "그의 말에는 추호의 거짓도 없음이 밝혀졌다" "나의 결심은 추호도 흔들리지 않는다"와 같이 쓰인다. 가을이 되면 동물들은 성긴 여름털을 벗고 촘촘한 겨울털로 갈아입는데 새로 나는 털은 여릴 수밖에 없다. 그래서 '추호(秋毫)'는 가을에 짐승의 털이 가늘다는 뜻으로 아주 적은 것을 비유하는 데 쓰이게 됐다. '추호도 없다'는 가느다란 털 하나조차 없을 만큼 조금도 없음을 강조하는 말이다.

 호말(毫末), 즉 '털끝'도 비슷한 표현이다. "그럴 생각은 털끝만치도 없었는데 가을이 깊어지면 릴케의 시처럼 읽고 쓰며 잠자지 않고 이리저리 가로수 길을 헤매게 된다"처럼 사용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01
3150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658
3149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01
3148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839
3147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072
3146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680
3145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57
3144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33
3143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672
3142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66
3141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64
3140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690
3139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700
3138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203
3137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309
3136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21
31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304
3134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381
3133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83
3132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1042
3131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8981
3130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76
3129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8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