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3 13:55

쑥맥, 쑥, 숙맥

조회 수 1252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쑥맥, 쑥, 숙맥

"외양간의 소 못 보셨소?" 장에 다녀온 아들에게 아버지는 의기양양하게 대답했다. "그 소는 발굽이 둘로 갈라져 못쓰겠더라. 소장수를 겨우 설득해 팔아 치웠지." 평생 글만 읽어 온 늙은 선비의 말에 아들은 가슴을 쳤다. "''쑥맥''이 상팔자라더니 속은 줄도 모르고 웃고 있소? 소 발굽은 원래 그런걸!"

 옛날이야기 속 선비처럼 사리 분별을 못 하는 모자라고 어리석은 사람을 흔히 ''쑥맥''이라 발음하고 표기한다. 요즘엔 "그는 연애 한번 못한 쑥맥이야"처럼 세상 물정 모르는 순진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그러나 ''쑥맥''이 아니라 ''숙맥''이 바른 표현이다. 발음도 [숭맥]이라고 해야 한다.

 중국의 ''좌씨전''에 보면 주자에게는 모양이 확연히 다른 콩과 보리도 가려내지 못하는 형이 있었다고 한다. 이후 콩(菽)인지 보리(麥)인지도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의 ''숙맥불변(菽麥不辨)''이 평범한 사실조차 모르는 못난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됐다. ''숙맥''은 이 ''숙맥불변''이 줄어든 말이다.

 "그가 하는 짓을 보니 영 쑥이던데?"처럼 숙맥과 비슷한 의미의 ''쑥''이란 단어도 있어 더욱 헷갈리는 것으로 보이나 ''쑥맥''이라고 써서는 안 된다. 숙맥불변.숙맥.쑥이 표준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5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0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951
2116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18
2115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546
2114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53
2113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36
2112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23
2111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226
2110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963
2109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933
2108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27
2107 영부인 바람의종 2008.12.08 8261
2106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096
2105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72
2104 획정, 확정 바람의종 2008.12.10 15060
2103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422
2102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54
2101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4965
2100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363
2099 지향, 지양 바람의종 2008.12.11 10905
2098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914
2097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10023
2096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214
2095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