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1 21:04

진무르다, 짓무르다

조회 수 1991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무르다, 짓무르다

여름에는 한번 상처가 나면 쉽게 낫지 않는다. 상처가 아물려면 공기가 잘 통해야 하는데, 여름엔 습도가 높은 데다 땀을 많이 흘리고 자주 씻기 때문에 상처 부위가 공기와 접촉하는 데 아무래도 불리하다.

 "매를 많이 맞아 엉덩이가 진물렀다"처럼 상처 난 곳이 헐고 문드러졌을 때 흔히 ''진무르다''라고 표현하지만 이는 잘못이다. 이 경우는 "발바닥 군데군데가 짓물렀다"처럼 ''짓무르다''라고 쓰는 게 옳다.  '짓무르다'와 '진무르다'는 발음이 비슷한 데다 '부스럼이나 상처 따위에서 흐르는 물''을 뜻하는 '진물'이 연상돼 더 헷갈리기 쉬우니 주의해야 한다.

'짓무르다'는 "트럭에 채소를 많이 실었더니 더운 날씨에 짓물렀다"에서처럼 ''채소나 과일 따위가 너무 썩거나 물러 푹 물크러지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그는 방학 내내 눈이 짓무르도록 책을 봤다"에서 보듯 ''눈자위가 상해 핏발이 서고 눈물에 젖다''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피부가 짓무를 경우 물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게 좋겠지만 상태가 가벼운 때는 녹차를 우린 물로 아픈 부위를 씻어 줘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79
2688 일자리 바람의종 2009.06.29 6205
2687 일상어 몇 마디와 ‘-적’ 바람의종 2010.04.13 12467
2686 일사불란 / 사달 / 사단 바람의종 2009.03.08 11779
2685 일사불란 바람의종 2007.12.17 8066
2684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73
2683 일본식 용어 - 고~끼 바람의종 2008.03.06 10638
2682 일본식 용어 - 개~계 바람의종 2008.03.04 9934
2681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379
2680 일본식 용어 - ㅌ ~ ㅎ : "政治는 일본식 우리식은 政事" - 김성동 / 소설가 바람의종 2008.03.15 13222
2679 일본식 용어 - ㅊ 바람의종 2008.03.14 9090
2678 일본식 용어 - ㅈ 바람의종 2008.03.13 8631
2677 일본식 용어 - ㅇ 바람의종 2008.03.12 11843
2676 일본식 용어 - ㅅ 바람의종 2008.03.11 10527
2675 일본식 용어 - ㅂ 바람의종 2008.03.10 11223
2674 일본식 용어 - ㅁ 바람의종 2008.03.08 11284
2673 일본식 용어 - ㄴ ~ ㄷ 바람의종 2008.03.07 10914
2672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850
2671 일러두기 바람의종 2008.09.02 6400
2670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114
2669 바람의종 2009.07.31 7926
2668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195
2667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