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1 21:04

진무르다, 짓무르다

조회 수 2003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무르다, 짓무르다

여름에는 한번 상처가 나면 쉽게 낫지 않는다. 상처가 아물려면 공기가 잘 통해야 하는데, 여름엔 습도가 높은 데다 땀을 많이 흘리고 자주 씻기 때문에 상처 부위가 공기와 접촉하는 데 아무래도 불리하다.

 "매를 많이 맞아 엉덩이가 진물렀다"처럼 상처 난 곳이 헐고 문드러졌을 때 흔히 ''진무르다''라고 표현하지만 이는 잘못이다. 이 경우는 "발바닥 군데군데가 짓물렀다"처럼 ''짓무르다''라고 쓰는 게 옳다.  '짓무르다'와 '진무르다'는 발음이 비슷한 데다 '부스럼이나 상처 따위에서 흐르는 물''을 뜻하는 '진물'이 연상돼 더 헷갈리기 쉬우니 주의해야 한다.

'짓무르다'는 "트럭에 채소를 많이 실었더니 더운 날씨에 짓물렀다"에서처럼 ''채소나 과일 따위가 너무 썩거나 물러 푹 물크러지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그는 방학 내내 눈이 짓무르도록 책을 봤다"에서 보듯 ''눈자위가 상해 핏발이 서고 눈물에 젖다''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피부가 짓무를 경우 물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게 좋겠지만 상태가 가벼운 때는 녹차를 우린 물로 아픈 부위를 씻어 줘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3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0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732
2688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65
2687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232
2686 끼치다와 미치다 바람의종 2011.05.01 12719
2685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43
2684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79
2683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55
2682 끊기다 바람의종 2011.05.01 12310
2681 병구완, 병구환, 병간호, 고수련 바람의종 2011.01.30 12546
2680 슬라이딩 도어 바람의종 2011.01.30 13923
2679 있으매와 있음에 바람의종 2011.01.30 12657
2678 신장이 좋다? 바람의종 2011.01.30 11322
2677 아무개 바람의종 2011.01.30 12780
2676 곶감, 꽃감, 꽂감 바람의종 2011.01.30 12564
2675 살짝궁, 살짜궁 / 살짝이, 살짜기 바람의종 2010.12.19 11191
2674 변죽 바람의종 2010.12.19 10086
2673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92
2672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339
2671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979
2670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7031
2669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8259
2668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81
2667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