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1 21:04

진무르다, 짓무르다

조회 수 2001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무르다, 짓무르다

여름에는 한번 상처가 나면 쉽게 낫지 않는다. 상처가 아물려면 공기가 잘 통해야 하는데, 여름엔 습도가 높은 데다 땀을 많이 흘리고 자주 씻기 때문에 상처 부위가 공기와 접촉하는 데 아무래도 불리하다.

 "매를 많이 맞아 엉덩이가 진물렀다"처럼 상처 난 곳이 헐고 문드러졌을 때 흔히 ''진무르다''라고 표현하지만 이는 잘못이다. 이 경우는 "발바닥 군데군데가 짓물렀다"처럼 ''짓무르다''라고 쓰는 게 옳다.  '짓무르다'와 '진무르다'는 발음이 비슷한 데다 '부스럼이나 상처 따위에서 흐르는 물''을 뜻하는 '진물'이 연상돼 더 헷갈리기 쉬우니 주의해야 한다.

'짓무르다'는 "트럭에 채소를 많이 실었더니 더운 날씨에 짓물렀다"에서처럼 ''채소나 과일 따위가 너무 썩거나 물러 푹 물크러지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그는 방학 내내 눈이 짓무르도록 책을 봤다"에서 보듯 ''눈자위가 상해 핏발이 서고 눈물에 젖다''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피부가 짓무를 경우 물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게 좋겠지만 상태가 가벼운 때는 녹차를 우린 물로 아픈 부위를 씻어 줘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2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7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666
2688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688
2687 단도리, 잡도리, 당조짐 바람의종 2010.08.05 14791
2686 다시방 바람의종 2010.08.05 10558
2685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3013
2684 헷갈리는 받침 바람의종 2010.08.03 10809
2683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78
2682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94
2681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487
2680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645
2679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1405
2678 놀라다 / 놀래다 바람의종 2010.07.26 16944
2677 추호도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3918
2676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2136
2675 빌려 오다, 빌려 주다, 꾸다, 뀌다 바람의종 2010.07.25 18995
2674 쪼는 맛 바람의종 2010.07.25 11186
2673 훈방, 석방 바람의종 2010.07.23 14964
2672 쑥맥, 쑥, 숙맥 바람의종 2010.07.23 12530
2671 탕비실 바람의종 2010.07.23 10704
2670 혹성, 행성, 위성 바람의종 2010.07.21 11394
2669 바다가재, 바닷가재 바람의종 2010.07.21 11762
» 진무르다, 짓무르다 바람의종 2010.07.21 20019
2667 쌀뜬물, 쌀뜨물 바람의종 2010.07.21 137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