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1 15:23

쌀뜬물, 쌀뜨물

조회 수 1371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쌀뜬물, 쌀뜨물

휴가지에서 돌아온 마음은 한결 뽀송뽀송해졌지만 장시간 햇빛에 노출된 피부가 빨갛게 달아올라 후유증에 시달리는 이가 적지 않다. 이럴 때 진정 효과가 있는 ''쌀뜬물''로 헹구고 오이 등으로 팩을 하면 도움이 된다.

 쌀을 씻고 난 뿌연 물을 ''쌀뜬물''이라고 하는 사람이 많다. "비누가 없던 옛 여인들이 세안제로 애용했던 쌀뜬물은 그 속에 녹아 있는 전분이 피부를 탄력 있고 뽀얗게 해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땀이 많이 흐르는 여름철, 땀띠가 났을 때 쌀뜬물을 우유팩에 넣어 두었다가 거즈에 적셔 환부에 발라 주면 도움이 된다"처럼 사용하고 있지만 ''쌀뜨물''이라고 해야 맞다.

 우리말엔 동사 어간과 명사가 직접 결합한 ''쌀+뜨+물''과 같은 형태의 합성어가 흔하지 않다. 동사 어간에 관형형 어미 ''-ㄴ''이 결합하고 다시 명사가 붙어 만들어진 건넌방.눌은밥.주근깨 등과 같은 합성어가 훨씬 많다. 이런 유형에 익숙하다 보니 ''쌀뜨물''을 ''쌀뜬물''로 잘못 쓰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생선 비린내가 나는 그릇에 쌀뜨물을 붓고 이틀 정도 두면 냄새가 싹 가신다"처럼 사용해야 한다. 쌀뜨물을 미감(米 ).미감수(米 水).미즙(米汁).백수(白水)라고도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04
2116 몇과 수 바람의종 2010.10.11 7844
2115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845
2114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46
2113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47
2112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48
2111 냉면 사리 바람의종 2008.09.19 7852
2110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856
2109 임대와 임차 바람의종 2009.03.30 7856
2108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865
2107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66
2106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869
2105 능소니 바람의종 2009.07.25 7872
2104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74
2103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77
2102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880
2101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882
2100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885
2099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886
2098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886
2097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93
2096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99
2095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