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6.20 15:33

재료, 원료

조회 수 1164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료, 원료

대표적인 향수 브랜드 겔랑. 이 회사 4대 회장 장폴 겔랑은 일 년에 넉 달은 세계 곳곳을 떠돌아다니는 것으로 유명하다. 신선한 재료로 만든 요리가 맛도 좋듯이 향을 제대로 빚어내기 위해선 최고의 원료가 필요하다는 신념 때문이다.

 음식.화장품 등 어떤 물건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밑감을 ''재료'' 또는 ''원료''라고 한다. 그러나 "사탕수수는 설탕의 재료로 이용된다"고 하거나 "향나무는 공예품의 원료로 애용돼 왔다"고 하면 어색하다. 사탕수수는 설탕의 원료, 향나무는 공예품의 재료라고 써야 자연스럽다. 이들 단어는 만드는 과정에서 소재가 어떻게 변화되느냐에 따라 쓰임새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몸에 이로운 풀이란 뜻의 허브는 비타민이 풍부하고 씹히는 맛이 좋아 비빔밥 재료로도 그만이다"에서처럼 소재의 근본 성질은 유지되면서 물리적으로만 변화를 보일 때의 밑감은 ''재료(材料)''라고 한다. ''원료(原料)''는 소재가 화학적으로 변화해 그 근본 성질이 바뀔 때의 밑감이란 의미로 "허브 등 천연 원료에 알데히드라는 화학 성분을 배합해 만든 향수다"와 같이 쓰인다. 같은 소재라도 물리적으로 변하느냐, 화학적으로 변하느냐에 따라 재료와 원료로 뜻을 구분해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24
2666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39
2665 영계(young鷄?) 바람의종 2010.07.20 10999
2664 침착하고 명확하게 바람의종 2010.07.19 9982
2663 하모, 갯장어, 꼼장어, 아나고, 붕장어 바람의종 2010.07.19 18188
2662 신병, 신변 바람의종 2010.07.18 10913
2661 멋, 맵시 바람의종 2010.07.18 9603
2660 선례, 전례 바람의종 2010.07.17 12724
2659 되려, 되레 바람의종 2010.07.17 12897
2658 의사, 열사, 지사 바람의종 2010.07.12 12533
2657 꺼예요, 꺼에요, 거예요, 거에요 바람의종 2010.07.12 22597
2656 길다란, 기다란, 짧다랗다, 얇다랗다, 넓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0 17566
2655 ~겠다, ~것다 바람의종 2010.07.10 10579
2654 더위가 사그러들다 바람의종 2010.07.10 15080
2653 쟁이, 장이 바람의종 2010.07.09 14819
2652 무더위 바람의종 2010.07.09 7557
2651 그리고는, 그러고는 / 그리고 나서,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7.05 15386
2650 제작, 제조, 조제 바람의종 2010.07.05 14320
2649 죄다, 죄여, 조이다, 조여 바람의종 2010.06.20 19459
» 재료, 원료 바람의종 2010.06.20 11645
2647 복허리에 복달임 바람의종 2010.06.19 9460
2646 객관적 바람의종 2010.06.19 8059
2645 널브러지다, 널부러지다, 너부러지다 바람의종 2010.06.16 192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