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6.16 14:55

암닭, 암탉 / 닭 벼슬

조회 수 2438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암닭, 암탉 / 닭 벼슬

사람들은 왜 여름이면 삼계탕을 즐겨 먹을까. 우선 닭은 섬유가 가늘고 근육 속에 지방이 섞이지 않아 소화와 흡수가 잘되며 맛이 담백하다. 또한 인삼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피로를 풀어 주며, 밤과 대추는 위를 보호하고 빈혈을 예방해 준다. 그래서 지치기 쉬운 여름에 삼계탕을 먹는 것이다.

 닭은 우리에게 매우 친숙하지만 닭과 관련해 잘못 쓰기 쉬운 단어들이 몇몇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닭 벼슬''이다. "베컴은 멋진 축구 실력을 보여준 것은 물론 ''닭 벼슬'' 머리로 유행을 이끌었다"에서처럼 ''닭이나 새의 이마 위에 세로로 붙은 살 조각''을 ''벼슬''이라고 적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이 단어를 표준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볏''이 표준어이고 ''벼슬''은 경남.충청 지방의 방언이다.

 또한 닭의 암수를 이를 때 흔히 ''암닭'' ''수닭''이라고 쓰지만 이것도 잘못이다. 옛말에 쓰였던 ㅎ의 흔적을 반영해 ''암탉'' ''수탉''으로 하는 게 맞다. 한편 촌스럽고 어릿어릿하게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촌닭''이란 단어를 발음 그대로 ''촌딱''이라고 적는 실수도 자주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4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0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921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377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011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036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1996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810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25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43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771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250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258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52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546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333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833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282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658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965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469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100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872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161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5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