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6.16 14:55

암닭, 암탉 / 닭 벼슬

조회 수 2433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암닭, 암탉 / 닭 벼슬

사람들은 왜 여름이면 삼계탕을 즐겨 먹을까. 우선 닭은 섬유가 가늘고 근육 속에 지방이 섞이지 않아 소화와 흡수가 잘되며 맛이 담백하다. 또한 인삼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피로를 풀어 주며, 밤과 대추는 위를 보호하고 빈혈을 예방해 준다. 그래서 지치기 쉬운 여름에 삼계탕을 먹는 것이다.

 닭은 우리에게 매우 친숙하지만 닭과 관련해 잘못 쓰기 쉬운 단어들이 몇몇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닭 벼슬''이다. "베컴은 멋진 축구 실력을 보여준 것은 물론 ''닭 벼슬'' 머리로 유행을 이끌었다"에서처럼 ''닭이나 새의 이마 위에 세로로 붙은 살 조각''을 ''벼슬''이라고 적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이 단어를 표준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볏''이 표준어이고 ''벼슬''은 경남.충청 지방의 방언이다.

 또한 닭의 암수를 이를 때 흔히 ''암닭'' ''수닭''이라고 쓰지만 이것도 잘못이다. 옛말에 쓰였던 ㅎ의 흔적을 반영해 ''암탉'' ''수탉''으로 하는 게 맞다. 한편 촌스럽고 어릿어릿하게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촌닭''이란 단어를 발음 그대로 ''촌딱''이라고 적는 실수도 자주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12
2226 암울과 우울 바람의종 2011.11.27 7794
» 암닭, 암탉 / 닭 벼슬 바람의종 2010.06.16 24339
2224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바람의종 2012.01.08 24195
2223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873
2222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9928
2221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11
2220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49
2219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19
2218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275
2217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781
2216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38
2215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420
2214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14
2213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683
2212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097
2211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87
2210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477
2209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08
2208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685
2207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35
2206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490
2205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