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07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입맛 없는 여름철, 한 끼 식사로 그만인 비빔밥. 그 유래에 대해선 다양한 설이 있지만 피란길, 12첩 수라상을 보충하기 위해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에 나물을 얹어 임금에게 올렸던 데서 비롯됐다는 주장은 흥미롭다. 썩썩 비벼 먹는 그 맛은 모든 게 부족하던 당시에 임금도 반했을 만하다.

 비빔밥이나 김밥 등을 만들 때 "밥은 고슬고슬하게 지어야 한다"고 한다. 되지도, 질지도 않게 밥이 알맞게 됐을 경우 사용하는 이 표현을 간혹 "욕실엔 늘 고슬고슬한 수건이 걸려 있다" "고슬고슬하게 풀 먹인 삼베 이불"처럼 살결이나 물건의 거죽이 매끄럽지 않고 가칠하거나 빳빳한 모양을 나타낼 때도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고슬고슬하다''는 "따뜻한 물에 쌀을 안치면 말랑말랑하면서 고슬고슬한 밥을 지을 수 있다"와 같이 음식에 사용하는 표현으로 ''가슬가슬하다''와 구분해야 한다.

 밥과 관련해 자주 혼동하는 말로 ''찰지다''도 있다. 반죽이나 밥.떡 등이 끈기가 많다는 뜻으로 "한국 사람은 대개 부드럽고 찰진 밥을 좋아한다"처럼 사용하지만 ''차지다''가 표준어다. "보온밥솥은 압력밥솥에 비해 차진 밥을 하기 힘들다"와 같이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39
2644 암닭, 암탉 / 닭 벼슬 바람의종 2010.06.16 24360
»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바람의종 2010.06.08 11075
2642 놈팽이 바람의종 2010.06.08 13790
2641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280
2640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295
2639 주년, 돌, 회 바람의종 2010.05.31 10781
2638 단추를 꿰다, 끼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10.05.31 27637
2637 망둥어, 망둑어 / 간재미, 간자미 바람의종 2010.05.30 16927
2636 끄적, 끼적, 깔짝, 깨작 바람의종 2010.05.30 12365
2635 글러브, 글로브 바람의종 2010.05.29 12495
2634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189
2633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71
2632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168
2631 부기와 붓기 바람의종 2010.05.18 11369
2630 나들목, 분기점 바람의종 2010.05.18 10761
2629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46
2628 여위다, 여의다 바람의종 2010.05.17 12076
2627 죽을맛 바람의종 2010.05.13 11755
2626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299
2625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60
2624 초생달, 초승달 바람의종 2010.05.12 15404
2623 믿음직하다, 믿음 직하다 바람의종 2010.05.11 102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