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36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끄적, 끼적, 깔짝, 깨작

"…가다 오다 등잔 밑에서 혹은 친구들과 떠들고 이야기하던 끝에 공연히 붓대에 맡겨 한두 장씩 ''끄적거리다'' 보니 그것이 소위 내 수필이란 것이 된 셈이다."(김용준의 ''근원수필'' 중에서)

 ''사람들이 글씨나 그림 따위를 아무렇게나 자꾸 쓰거나 그리다''라는 뜻으로 ''끄적거린다(댄다)''라는 단어를 즐겨 쓴다. 그러나 이 단어는 표기법상 올바르지 않다. ''끼적거리다(대다), 끼적이다''의 잘못이다. "그는 수첩에 뭔가를 끼적거리고(끼적대고, 끼적이고) 있었다"처럼 써야 한다. ''끼적끼적하다''라고 쓸 수도 있다.

 약간 의미는 다르지만 ''글씨나 그림 따위를 아무렇게나 잘게 자꾸 쓰거나 그리다''는 뜻의 ''깨작거리다(대다)''라는 말도 있다. "길수는 책상 앞에 앉아 몇 자 깨작거리더니 금세 졸기 시작한다/ 그는 아까부터 공책에 무엇인가를 깨작이기만 할 뿐, 아무런 말이 없다"처럼 쓰인다. 이 경우 ''깨작깨작하다''로 써도 된다.

 가끔 ''깔짝거리다(대다)''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매우 얇고 빳빳한 물체의 바닥이 앞뒤로 되풀이하여 가볍게 뒤집히는 소리가 자꾸 나다''라는 전혀 다른 뜻이다. 비슷한 말로 ''깔짝깔짝하다''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03
2952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326
2951 공공칠 바람의종 2011.11.10 10965
2950 공권력 바람의종 2010.09.03 8235
2949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18
2948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43
2947 공부 바람의종 2007.06.03 7194
2946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703
2945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702
2944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438
2943 공쿠르, 콩쿠르 바람의종 2009.06.16 5771
2942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583
2941 곶감, 꽃감, 꽂감 바람의종 2011.01.30 12545
2940 과 / 와 바람의종 2010.08.27 8585
2939 과거시제 바람의종 2008.01.14 8109
2938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13
2937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47
2936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937
2935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15
2934 과반수 이상 바람의종 2008.08.27 6238
2933 과욋돈 바람의종 2012.08.21 8958
2932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311
2931 과중, 가중 바람의종 2011.12.14 104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