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29 07:32

소강상태에 빠지다

조회 수 10201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강상태에 빠지다

매우(梅雨). 매실이 익어 갈 무렵에 내리는 비라는 뜻으로 중국과 일본에선 장마를 이렇게 표현한다. 대개 6~8월에 찾아오는 극동 지방의 기상 특징 중 하나다. 올해 장마는 7월 중순까지 이어진다고 한다.

 장마와 관련된 날씨 예보 등에서 "소강상태에 빠져…"라고 표현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그러나 ''소강''은 소란이나 분란, 혼란 따위가 그치고 조금 잠잠하다는 뜻으로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상태를 나타내므로 ''빠지다''와는 호응이 잘 안 된다. 부정적 어감이 강한 ''빠지다''는 궁지.역경 등의 말과는 어울려도 ''소강''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장마가 소강상태에 들었다" "소강상태에 있던 장마전선이 활성화되면서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처럼 소강상태에 들다/있다 등으로 바꿔 쓰는 게 자연스럽다.

 비가 거의 오지 않아 맑은 날이 계속되면 ''마른장마'', 여러 날 동안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면 ''억수장마''라 하는 등 장마의 종류도 다양하다. 제철이 지난 뒤 지면 ''늦장마'', 초가을에 오다 말다 하는 장맛비는 ''건들장마''라고 부른다. 3년 가뭄엔 살아도 석 달 장마엔 못 산다는 말도 있듯이 모두 비 피해가 없도록 유의해야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6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2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51
1962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32
1961 바투 바람의종 2010.11.10 14151
1960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551
1959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91
1958 박빙, 살얼음 바람의종 2010.01.11 10947
1957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900
1956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275
1955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72
1954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794
1953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3024
1952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388
1951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93
1950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43
1949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10.11.03 12063
1948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64
1947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20
1946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92
1945 반풍수 집안 망친다 바람의종 2008.01.11 11116
1944 받아쓰기 없기 風文 2022.02.10 2401
1943 받치다, 받히다 바람의종 2011.12.28 10338
1942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바람의종 2012.07.04 16850
1941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