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18 16:19

부기와 붓기

조회 수 11365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기와 붓기

못생긴 여자를 가리켜 ''호박꽃''이라느니 ''호박 같다''느니 하는 데서 알 수 있듯 사람들은 호박을 매우 우습게 보지만 실은 호박에는 단백질.탄수화물.미네랄.식이섬유와 다량의 비타민 등 유익한 성분이 많다. 또한 늙은 호박은 출산 뒤 ''붓기''를 빼주고 당뇨와 불면증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출산이나 신장병 등으로 몸에 부종이 생긴 상태를 이를 때 흔히 ''붓기''라고 쓰지만 이것은 잘못이다. 이때는 ''부기''라고 적는 게 맞다. 예를 들면 "율무는 소변을 좋게 하며 부기 제거를 돕는다"처럼 써야 한다. 이때의 부기는 ''붓다''에서 온 게 아니고 뜰 부(浮)에 기운 기(氣)를 쓴 한자어다. 다음 예문과 비교해 보자. "늦은 밤에 라면을 먹고 자면 몸이 붓기 쉽다." 이 문장에서는 ''붓다''의 ''붓-''에 ''-기''를 붙여 명사 역할을 하게 했다. 부기(浮氣)가 ''몸이 부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면 붓기는 ''붓는 동작''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붓다''와 ''붇다''를 혼동하는 사람들도 가끔 있는데 붓다는 ''살가죽 등이 부풀어 오르다, 액체 등을 다른 곳에 옮겨 담다''란 뜻이고 붇다는 ''물에 젖어 부피가 커지다,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라는 뜻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4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886
1830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08
1829 나들목 바람의종 2010.05.29 8905
1828 ~노, ~나 바람의종 2010.09.05 8904
1827 우레 바람의종 2007.03.03 8902
1826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00
1825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8899
1824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899
1823 운명, 유명 바람의종 2008.12.26 8899
1822 맞춤법 비켜가기 바람의종 2008.04.06 8898
1821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897
1820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8896
1819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8895
1818 딛었다, 디뎠다 바람의종 2008.09.24 8894
1817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891
1816 오디새 바람의종 2009.08.04 8891
1815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8890
1814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889
1813 축적과 누적 바람의종 2010.03.08 8889
1812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888
1811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881
1810 대합실 바람의종 2007.10.18 8881
1809 나의 살던 고향은 바람의종 2009.07.07 88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