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12 11:19

초생달, 초승달

조회 수 15477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초생달, 초승달

'자정 무렵 산행을 하던 연인이 밤하늘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었다. 눈썹같이 떠오른 초승달이 깊은 밤의 운치를 더했다'. 이 사진은 진짜일까? 분명 합성사진일 것이다. 초승달은 해가 지면 곧 따라 지는 초저녁달이기 때문이다. 음력 매월 초하루부터 처음 며칠 동안 뜨는 달을 '초승달'이라고 한다. 이를 흔히 '초생달'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옛날 사람들은 초생달을 보고 한 달의 시작을 알고 그믐달을 보며 한 달을 마무리 지었다" "초생달 서산에 넘어가고 달빛이 사라지면 산들바람 살랑살랑 물결처럼 밀려오는 밤"과 같이 사용하고 있으나 '초승달'이 바른 표현이다. 초승달은 갓 생겨나다라는 뜻의 '초생(初生)'에 '달(月)'이 더해진 꼴이므로 '초생달'로 쓰는 게 맞을 것 같다. 그러나 한자어 '생(生)'은 '금생(今生.이승)'처럼 소리 나는 대로 적기도 하지만 이승이나 저승처럼 더러 음이 변한 형태를 쓰기도 한다. '초승달'도 어원은 '초생'이지만 '승'으로 바뀐 말을 표준어로 삼고 있다. "초승달은 저녁에만, 그믐달은 새벽에만 잠깐씩 비치다 말지만 보름달은 저녁부터 아침까지 우리로 하여금 온밤을 누릴 수 있게 한다"와 같이 사용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2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7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702
1104 뽀개기 바람의종 2010.05.09 8493
1103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520
1102 정육점과 푸줏간 바람의종 2010.05.10 11110
1101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639
1100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39
1099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95
1098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87
1097 겁나게 퉁겁지라! 바람의종 2010.05.11 11589
1096 접두사 ‘군~’ 바람의종 2010.05.11 12398
1095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110
1094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35
1093 믿음직하다, 믿음 직하다 바람의종 2010.05.11 10274
1092 ‘가녁’과 ‘쏘다’ 바람의종 2010.05.12 13766
1091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104
1090 경위 바람의종 2010.05.12 10905
1089 넋두리 바람의종 2010.05.12 10223
» 초생달, 초승달 바람의종 2010.05.12 15477
1087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911
1086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98
1085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43
1084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77
1083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