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6795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화가 치밀다, 부아가 치밀다 / 화병, 홧병

고함을 지를까, 잔뜩 먹어 볼까. 분노가 밀려올 때 에스키모는 무작정 걷는다고 한다. 화가 나면 나름의 방법으로 가라앉히려 들지만 쉬운 일이 아니다. 틱낫한은 "화는 신체 장기와 같아 함부로 떼어 버릴 수 없다"고 했을 정도다.

이처럼 노여운 마음이 생기는 것을 '부화가 나다'고 흔히 표현한다. 간혹 '부애가 나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는 모든 틀린 말로 '부아'라고 써야 한다. '부화'는 오늘날 쓰지 않는 옛말이고 '부애'는 사투리다.

우리말은 신체 부위로 감정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허파(폐)를 일컫는 '부아' 역시 화가 끓어오르면 숨이 가빠지고 가슴이 들썩거리는 모양에서 '분한 마음'이란 뜻으로 쓰이게 됐다.

"비상금을 숨겨 둔 장소를 아내가 찾아내자 그는 은근히 부아가 나서 담배 한 대를 꺼내 물었다" "사상의학에선 폐기능이 발달한 태양인이 부아를 내기가 쉽다고 말한다"와 같이 쓰인다.

치미는 부아를 삭이지 못하고 계속 쌓게 되면 '화병'이 생기기도 한다. 발음 때문에 '화병(火病)'을 '홧병'으로 표기하는 사람이 많지만 한자와 한자의 합성어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규정에 따라 '화병'으로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3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34
48 꺼예요, 꺼에요, 거예요, 거에요 바람의종 2010.07.12 22601
47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704
46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175
45 늘그막, 늙으막 / 늑수그레하다, 늙수그레하다 바람의종 2010.04.02 23664
44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820
43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57
42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138
41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182
40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바람의종 2012.01.08 24208
39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209
38 온몸이 노근하고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12.12.12 24240
37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327
36 암닭, 암탉 / 닭 벼슬 바람의종 2010.06.16 24355
35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88
34 오살할 놈 바람의종 2008.02.29 24564
33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4931
32 휘거 風文 2014.12.05 25025
31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287
30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538
2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5921
28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5926
27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1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