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7 15:44

알맹이, 알갱이

조회 수 9533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알맹이, 알갱이

"가장 괴로웠던 점은 무엇이었습니까? 뜨거운 태양이었나요, 타는 듯한 목마름이었나요." 사막에서 길을 잃은 여행자가 구조된 뒤 기자들에게서 질문을 받았다. 그는 묘한 웃음을 지으며 대답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신발 속에 파고든 '모래 알맹이'였습니다."

우리를 힘들게 하는 건 아주 사소한 문제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알려 주는 이 이야기 속의 모래는 '알맹이'로 써야 할까, '알갱이'로 써야 할까.

'알갱이'는 작고 동그랗고 단단한 물질을 가리킨다. "야구장에 소금을 뿌리면 땅이 어는 것을 막고, 소금 알갱이가 수분을 흡수해 먼지가 날리는 것을 줄일 수 있다"와 같이 쓰인다. '알맹이'는 껍데기나 껍질을 벗기고 남은 속 부분을 일컫는 말로 "밤을 까서 알맹이만 꺼냈다"처럼 사용된다.

곡식이건 모래건 작고 동글동글한 물질이면 무엇에든 사용할 수 있는 게 '알갱이'라면, '알맹이'는 껍질이 있는 것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밤은 '알맹이'뿐 아니라 '알갱이'로도 표현할 수 있지만, 소금은 '알맹이'로 쓸 수 없다. 모래 역시 '알갱이'라고 해야 한다. "그의 말은 겉만 요란했지 알맹이는 없다"처럼 '알맹이'는 사물의 핵심이 되는 중요한 부분을 가리키는 뜻으로도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1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7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568
1368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610
1367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617
1366 내 자신 바람의종 2010.07.05 9617
1365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620
1364 덕아웃이 아니고 왜 더그아웃? 바람의종 2010.01.06 9621
1363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622
1362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624
1361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625
1360 에프엠 바람의종 2009.09.03 9628
1359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629
1358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631
1357 갯벌과 개펄 바람의종 2010.02.15 9632
1356 늙은이 바람의종 2010.07.10 9633
1355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635
1354 담합 = 짬짜미 / 짬짬이 바람의종 2011.12.27 9636
1353 멋, 맵시 바람의종 2010.07.18 9642
1352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5
1351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647
1350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648
1349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649
1348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652
1347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