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3 12:26

엿장수, 엿장사

조회 수 1061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엿장수, 엿장사

"부산 동래 사탕엿, 울릉도 호박엿, 전라도 봉산의 생강엿, 강원도 금강산 생청엿…." 구수한 노랫가락과 함께 가위를 챙강챙강 치며 동네를 찾아오는 그들은 언제나 반가운 존재였다. 요즘은 거의 사라진 풍경이지만 이들을 연상케 하는 "엿장사 마음이야!"라는 말은 아직도 흔히 쓰이고 있다.

그러나 '엿장사 마음'은 '엿장수 마음'이라고 해야 한다. '장수'는 장사하는 사람, '장사'는 이익을 얻으려고 물건을 파는 행위를 뜻한다. 따라서 '엿장수'는 엿을 파는 사람, '엿장사'는 엿을 파는 일이 된다. '장사'는 행위, '장수'는 사람이므로 '장사하다'는 가능해도 '장수하다'고는 쓸 수 없다. 또 "과일 장수가 맛을 보라며 사과를 건넸다"고는 할 수 있지만 "과일 장사가 맛을 보라며 사과를 건넸다"고는 할 수 없다.

"엿장수 마음대로"란 말은 엿장수가 엿을 떼어 내줄 때, 값어치 없는 고물을 가져온 코흘리개의 손에도 종종 큼지막한 엿 한 덩이를 들려 보내는 일이 있었기에 나왔을 법하다. 훈훈한 인심을 뜻하던 말이 이제는 멋대로 행동하는 사람을 비꼴 때 쓰는 말이 된 셈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16
2402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632
2401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776
» 엿장수, 엿장사 바람의종 2010.04.23 10611
2399 염병할 바람의종 2008.02.27 9908
2398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72
2397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613
2396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939
2395 열릴 예정이다 바람의종 2010.11.26 10626
2394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76
2393 연합전술로 패했다 바람의종 2010.07.30 9771
2392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39
2391 연출했다 바람의종 2010.04.27 8285
2390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67
2389 연설 바람의종 2008.05.11 6808
2388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8046
2387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255
2386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23
2385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7908
2384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42
2383 역할 / 역활 바람의종 2009.08.27 19972
2382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263
2381 역겨움에 대하여, 큰일 風文 2022.09.22 19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