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19 14:48

좋으네요, 좋네요

조회 수 13418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좋으네요, 좋네요

일상적인 대화나 글에서 "나는 왠지 당신이 좋으네요" "나이에 비해 피부가 참 고우네요"라는 표현을 자주 본다. 그러나 이들 예문은 표준어법에 어긋난다. "나는 왠지 당신이 좋네요" "나이에 비해 피부가 참 곱네요"라고 써야 옳다. 우리말에는 '-네'라는 어미는 있지만 '-으네'라는 어미는 없다. 이 말이 잘못 쓰이는 이유는 많은 사람이 '-네요'가 어미인 줄 알기 때문이다.

여기서 '-네'는 "네가 할 차례네/ 나 지금 가네/ 그러다 병나겠네// 우리 아이 노래도 잘 부르네/ 집이 참 깨끗하네"처럼 단순한 서술의 뜻을 나타내거나, 감탄의 뜻을 드러내면서 지금 깨달은 일을 서술하는 데 쓰이는 종결어미다.

'-네' 뒤에 붙은 '요'는 약간은 생소하겠지만 조사다. '요'는 "이것은 말이요, 저것은 소요, 그것은 닭이다"에서처럼 어떤 사물이나 사실 따위를 열거할 때 쓰이는 연결어미로 잘못 생각하기 쉬우나, 여기서는 청자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다. "잠이 안 오는걸요/ 늑장 부리다가는 차 시간을 놓치게요// 마음은요 더없이 좋아요/ 어서요 읽어 보세요"처럼 쓰인다.

우리말에 '-네요'라는 어미는 없다. '-네'라는 어미만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11
310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022
310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05
3104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43
310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73
310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19
310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796
3100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07
30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573
3098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267
309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683
3096 바람의종 2008.09.19 7426
309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5999
3094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659
3093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34
3092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545
3091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30
30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13
3089 개떡같다 바람의종 2008.02.21 10769
308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07
308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195
3086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53
3085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