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19 14:48

좋으네요, 좋네요

조회 수 13416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좋으네요, 좋네요

일상적인 대화나 글에서 "나는 왠지 당신이 좋으네요" "나이에 비해 피부가 참 고우네요"라는 표현을 자주 본다. 그러나 이들 예문은 표준어법에 어긋난다. "나는 왠지 당신이 좋네요" "나이에 비해 피부가 참 곱네요"라고 써야 옳다. 우리말에는 '-네'라는 어미는 있지만 '-으네'라는 어미는 없다. 이 말이 잘못 쓰이는 이유는 많은 사람이 '-네요'가 어미인 줄 알기 때문이다.

여기서 '-네'는 "네가 할 차례네/ 나 지금 가네/ 그러다 병나겠네// 우리 아이 노래도 잘 부르네/ 집이 참 깨끗하네"처럼 단순한 서술의 뜻을 나타내거나, 감탄의 뜻을 드러내면서 지금 깨달은 일을 서술하는 데 쓰이는 종결어미다.

'-네' 뒤에 붙은 '요'는 약간은 생소하겠지만 조사다. '요'는 "이것은 말이요, 저것은 소요, 그것은 닭이다"에서처럼 어떤 사물이나 사실 따위를 열거할 때 쓰이는 연결어미로 잘못 생각하기 쉬우나, 여기서는 청자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다. "잠이 안 오는걸요/ 늑장 부리다가는 차 시간을 놓치게요// 마음은요 더없이 좋아요/ 어서요 읽어 보세요"처럼 쓰인다.

우리말에 '-네요'라는 어미는 없다. '-네'라는 어미만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4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489
3106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514
3105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621
3104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287
3103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575
310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086
3101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46
3100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031
3099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150
3098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071
3097 새말 만들기 바람의종 2007.10.12 7785
3096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660
3095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458
3094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586
3093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132
3092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05
3091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790
3090 단수 정리 바람의종 2007.10.17 16262
3089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101
3088 대합실 바람의종 2007.10.18 8881
3087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8932
3086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46
3085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09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