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73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실, 복슬, 북슬, 북실

애견 이름 짓기도 유행이 있다. 요즘은 알콩이.달콩이 등 재미나거나 개성 있는 이름을 선호하지만 예전엔 색깔이 누렇다고 누렁이, 반점이 있다고 점박이 등 생김새에 따라 대충 불렀다. 이런 작명법에 따라 삽사리 종류는 대부분 복실이로 통했다.

털이 많아 탐스러운 개를 흔히 "고놈 참 복실복실하네"라고 묘사하는 것을 본다. 그 영향으로 동요도 "우리 집 강아지는 복실강아지"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모두 맞춤법에 어긋나는 표현이다.

"온몸이 복슬복슬한 털로 덮여 있는 삽살개는 잡귀와 액운을 쫓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영화 '벤지'는 떠돌이 복슬강아지가 자신을 돌봐 준 오누이가 악당에게 납치되자 목숨을 걸고 이들을 구하는 이야기다"와 같이 '복슬복슬(하다)' '복슬강아지'라고 써야 한다. 의미가 더욱 강조된 말인 '북슬북슬(하다)' '북슬강아지'도 '북실북실(하다)' '북실강아지'라고 해서는 안 된다.

혀의 앞쪽에서 발음되는 전설자음(ㅅ, ㅈ, ㅊ)엔 같은 자리의 전설모음 'ㅣ'가 오는 게 편하기 때문에 '스'를 '시'로 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부시시(→부스스), 으시시(→으스스)처럼 표준말로 인정하지 않는 예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8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566
2182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874
2181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73
2180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873
2179 엔간하다 風磬 2007.01.19 9871
2178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65
2177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862
2176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855
2175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853
2174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846
2173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843
2172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843
2171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42
2170 동생과 아우 바람의종 2010.06.16 9838
2169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837
2168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835
2167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832
2166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832
2165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831
2164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831
2163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28
2162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24
2161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8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