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70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실, 복슬, 북슬, 북실

애견 이름 짓기도 유행이 있다. 요즘은 알콩이.달콩이 등 재미나거나 개성 있는 이름을 선호하지만 예전엔 색깔이 누렇다고 누렁이, 반점이 있다고 점박이 등 생김새에 따라 대충 불렀다. 이런 작명법에 따라 삽사리 종류는 대부분 복실이로 통했다.

털이 많아 탐스러운 개를 흔히 "고놈 참 복실복실하네"라고 묘사하는 것을 본다. 그 영향으로 동요도 "우리 집 강아지는 복실강아지"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모두 맞춤법에 어긋나는 표현이다.

"온몸이 복슬복슬한 털로 덮여 있는 삽살개는 잡귀와 액운을 쫓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영화 '벤지'는 떠돌이 복슬강아지가 자신을 돌봐 준 오누이가 악당에게 납치되자 목숨을 걸고 이들을 구하는 이야기다"와 같이 '복슬복슬(하다)' '복슬강아지'라고 써야 한다. 의미가 더욱 강조된 말인 '북슬북슬(하다)' '북슬강아지'도 '북실북실(하다)' '북실강아지'라고 해서는 안 된다.

혀의 앞쪽에서 발음되는 전설자음(ㅅ, ㅈ, ㅊ)엔 같은 자리의 전설모음 'ㅣ'가 오는 게 편하기 때문에 '스'를 '시'로 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부시시(→부스스), 으시시(→으스스)처럼 표준말로 인정하지 않는 예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42
2600 도매급으로 넘기다 바람의종 2010.04.24 14033
2599 웃, 윗 바람의종 2010.04.24 10687
2598 완강기 바람의종 2010.04.23 12497
2597 엿장수, 엿장사 바람의종 2010.04.23 10609
2596 좋으네요, 좋네요 바람의종 2010.04.19 13432
» 복실, 복슬, 북슬, 북실 바람의종 2010.04.19 9704
2594 '~어하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4.18 13476
2593 사겨, 사귀어, 부셔, 부숴 바람의종 2010.04.18 12110
2592 조종, 조정 바람의종 2010.04.17 10963
2591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381
2590 하노라고, 하느라고 바람의종 2010.04.13 10881
2589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195
2588 바꾸다, 고치다 바람의종 2010.04.10 7432
2587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9997
2586 영어 남발 바람의종 2010.04.07 10073
2585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82
2584 늘그막, 늙으막 / 늑수그레하다, 늙수그레하다 바람의종 2010.04.02 23664
2583 유혈목이, 새홀리기 바람의종 2010.04.02 10801
2582 놀잇감, 장난감 바람의종 2010.04.01 5943
2581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07
2580 녹녹지 않다 바람의종 2010.03.30 12185
2579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