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17 13:20

축제, 축전, 잔치

조회 수 8406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축제, 축전, 잔치

함평나비축제, 무주반딧불축제, 춘천마임축제 등 봄을 맞아 지역마다 다양한 축제가 열리고 있다. 이처럼 무엇을 축하해 벌이는 큰 행사에는 대부분 '축제'라는 말이 붙지만, '축제'는 사실은 일본식 한자어다.우리식으로는 '기우제' '추모제' 등처럼 '제(祭)'가 제사를 뜻하므로 '축제(祝祭)'는 '축하하는 제사'가 돼 몹시 어색하다. 유독 일본에서만 '제(祭)'가 잔치라는 뜻으로 쓰이고, '축제'란 단어를 만들어 사용해 왔다.

이 '축제'가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지금은 흔히 쓰이고 있다. '~축제'뿐 아니라 '문화제' '영화제' 등 '-제'가 붙은 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예부터 써 온 단어는 '축제'가 아니라 '축전(祝典)'이다.

'축전'이 어색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브람스의 '대학 축전 서곡'은 전혀 어색하지 않다. '부산 과학 축전' 등 현재도 '축전'이 쓰이고 있기도 하다. 북한에서는 '아리랑 축전'처럼 '축전'이란 말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축제'가 입에 배 '축전'은 아무래도 어색하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순 우리말인 '잔치'를 사용해 '개막 잔치' '영화 잔치'로 부르면 어떤가. '대축제'는 '큰잔치'라 하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0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600
1852 률과 율 바람의종 2008.04.16 8439
1851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440
1850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42
1849 신청·청구 바람의종 2009.07.28 8443
1848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443
1847 노박비 바람의종 2008.02.11 8448
1846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449
1845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50
1844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51
1843 누리마루, 나래마루. 바람의종 2009.11.15 8453
1842 애물단지 風磬 2007.01.19 8455
1841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57
1840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463
1839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74
1838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75
1837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82
1836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82
1835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82
1834 뽀개기 바람의종 2010.05.09 8486
1833 바람의종 2007.03.31 8488
1832 아슴찮아라, 참! file 바람의종 2010.05.09 8492
1831 들여마시다 바람의종 2010.01.28 84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