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17 13:20

축제, 축전, 잔치

조회 수 8448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축제, 축전, 잔치

함평나비축제, 무주반딧불축제, 춘천마임축제 등 봄을 맞아 지역마다 다양한 축제가 열리고 있다. 이처럼 무엇을 축하해 벌이는 큰 행사에는 대부분 '축제'라는 말이 붙지만, '축제'는 사실은 일본식 한자어다.우리식으로는 '기우제' '추모제' 등처럼 '제(祭)'가 제사를 뜻하므로 '축제(祝祭)'는 '축하하는 제사'가 돼 몹시 어색하다. 유독 일본에서만 '제(祭)'가 잔치라는 뜻으로 쓰이고, '축제'란 단어를 만들어 사용해 왔다.

이 '축제'가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지금은 흔히 쓰이고 있다. '~축제'뿐 아니라 '문화제' '영화제' 등 '-제'가 붙은 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예부터 써 온 단어는 '축제'가 아니라 '축전(祝典)'이다.

'축전'이 어색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브람스의 '대학 축전 서곡'은 전혀 어색하지 않다. '부산 과학 축전' 등 현재도 '축전'이 쓰이고 있기도 하다. 북한에서는 '아리랑 축전'처럼 '축전'이란 말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축제'가 입에 배 '축전'은 아무래도 어색하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순 우리말인 '잔치'를 사용해 '개막 잔치' '영화 잔치'로 부르면 어떤가. '대축제'는 '큰잔치'라 하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3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798
2270 복실, 복슬, 북슬, 북실 바람의종 2010.04.19 9731
2269 늘리다와 늘이다 바람의종 2010.04.19 10213
2268 바치다,받치다,받히다 바람의종 2010.04.19 13263
2267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88
2266 '~어하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4.18 13579
2265 사겨, 사귀어, 부셔, 부숴 바람의종 2010.04.18 12131
2264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141
2263 ‘-율’과 ‘-률’ 바람의종 2010.04.18 13288
2262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59
2261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316
2260 조종, 조정 바람의종 2010.04.17 10983
»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448
2258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599
2257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411
2256 네거티브 전략 바람의종 2010.04.17 11044
2255 하노라고, 하느라고 바람의종 2010.04.13 10967
2254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294
2253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657
2252 외곬과 외골수 바람의종 2010.04.13 12964
2251 울면 file 바람의종 2010.04.13 11030
2250 일상어 몇 마디와 ‘-적’ 바람의종 2010.04.13 12485
2249 바꾸다, 고치다 바람의종 2010.04.10 74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