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17 13:20

축제, 축전, 잔치

조회 수 8417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축제, 축전, 잔치

함평나비축제, 무주반딧불축제, 춘천마임축제 등 봄을 맞아 지역마다 다양한 축제가 열리고 있다. 이처럼 무엇을 축하해 벌이는 큰 행사에는 대부분 '축제'라는 말이 붙지만, '축제'는 사실은 일본식 한자어다.우리식으로는 '기우제' '추모제' 등처럼 '제(祭)'가 제사를 뜻하므로 '축제(祝祭)'는 '축하하는 제사'가 돼 몹시 어색하다. 유독 일본에서만 '제(祭)'가 잔치라는 뜻으로 쓰이고, '축제'란 단어를 만들어 사용해 왔다.

이 '축제'가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지금은 흔히 쓰이고 있다. '~축제'뿐 아니라 '문화제' '영화제' 등 '-제'가 붙은 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예부터 써 온 단어는 '축제'가 아니라 '축전(祝典)'이다.

'축전'이 어색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브람스의 '대학 축전 서곡'은 전혀 어색하지 않다. '부산 과학 축전' 등 현재도 '축전'이 쓰이고 있기도 하다. 북한에서는 '아리랑 축전'처럼 '축전'이란 말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축제'가 입에 배 '축전'은 아무래도 어색하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순 우리말인 '잔치'를 사용해 '개막 잔치' '영화 잔치'로 부르면 어떤가. '대축제'는 '큰잔치'라 하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08
3084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433
3083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351
3082 개쓰레기 바람의종 2012.10.05 12294
3081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550
3080 개양귀비 바람의종 2008.01.25 7463
3079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647
3078 개연성/우연성/필연성 바람의종 2012.05.10 10603
3077 개인 날 / 갠날, (-이-)의 표기오류 바람의종 2008.06.14 6938
3076 개차반 風磬 2006.09.14 16270
3075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059
3074 개털 바람의종 2008.02.22 6745
3073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306
3072 객관적 바람의종 2010.06.19 8085
3071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50
3070 갯벌과 개펄 바람의종 2010.02.15 9615
3069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245
3068 거꾸로 / 반대로 바람의종 2011.11.17 11818
3067 거꾸로 가는 지자체 바람의종 2011.12.28 9454
3066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6331
3065 거덜이 나다 바람의종 2007.12.26 9634
3064 거래선, 거래처 바람의종 2009.09.24 10702
3063 거렁뱅이 바람의종 2010.08.25 111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