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17 13:20

축제, 축전, 잔치

조회 수 8434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축제, 축전, 잔치

함평나비축제, 무주반딧불축제, 춘천마임축제 등 봄을 맞아 지역마다 다양한 축제가 열리고 있다. 이처럼 무엇을 축하해 벌이는 큰 행사에는 대부분 '축제'라는 말이 붙지만, '축제'는 사실은 일본식 한자어다.우리식으로는 '기우제' '추모제' 등처럼 '제(祭)'가 제사를 뜻하므로 '축제(祝祭)'는 '축하하는 제사'가 돼 몹시 어색하다. 유독 일본에서만 '제(祭)'가 잔치라는 뜻으로 쓰이고, '축제'란 단어를 만들어 사용해 왔다.

이 '축제'가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지금은 흔히 쓰이고 있다. '~축제'뿐 아니라 '문화제' '영화제' 등 '-제'가 붙은 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예부터 써 온 단어는 '축제'가 아니라 '축전(祝典)'이다.

'축전'이 어색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브람스의 '대학 축전 서곡'은 전혀 어색하지 않다. '부산 과학 축전' 등 현재도 '축전'이 쓰이고 있기도 하다. 북한에서는 '아리랑 축전'처럼 '축전'이란 말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축제'가 입에 배 '축전'은 아무래도 어색하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순 우리말인 '잔치'를 사용해 '개막 잔치' '영화 잔치'로 부르면 어떤가. '대축제'는 '큰잔치'라 하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0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5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508
3084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28
3083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287
3082 신병 바람의종 2007.10.21 7188
3081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943
3080 십팔번 바람의종 2007.10.22 7072
3079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406
3078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46
3077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205
3076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91
3075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231
3074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994
3073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679
3072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765
3071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320
3070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87
3069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361
3068 금수강산 바람의종 2007.10.28 10529
3067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231
3066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87
3065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416
3064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421
3063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3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