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590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돈 깨나 있다고 남을 깔보면 되겠니?/ 얼굴을 보니 심술 깨나 부리겠더라.' '밥은 커녕 물도 한 모금 못 마셨다./ 그는 인사는 커녕 알은체도 안 한다.'

위에서처럼'깨나'와 '커녕'을 앞 단어와 띄어 쓰기 쉽다. 말할 때 이런 식으로 잠시 멈추는 시간을 가지면서 의미의 단락을 구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깨나'와 '커녕'은 앞 단어에 붙여 써야 한다.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조사는 하나의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독립성이 없기 때문에 항상 앞말에 붙여 쓴다. 조사가 둘 이상 겹치거나, 조사가 어미 뒤에 붙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깨나'는 '어느 정도 이상'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다. '꽤나'로 바꿔 써도 의미상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조사라는 사실을 잘 모르는 것 같다. '꽤나'는 '보통보다 조금 더한 정도로, 제법 괜찮을 정도로'를 뜻하는 부사 '꽤'에 조사 '나'가 붙은 형태다. 반면 '(은, 는)커녕'은 조사 '은, 는'에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물론 그보다 덜하거나 못한 것까지 부정' '말할 것도 없거니와 도리어'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 '커녕'이 겹쳐 쓰인 경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0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99
1060 동남아 언어 바람의종 2008.02.29 7604
1059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68
1058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683
1057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909
1056 돌팔이 風磬 2006.11.16 8111
1055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64
1054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657
1053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62
1052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43
1051 돌나물 바람의종 2008.06.02 7449
1050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0
1049 돋우다와 돋구다 바람의종 2010.03.22 13774
1048 돈자리·행표 바람의종 2008.06.04 6785
1047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88
1046 돈까스 바람의종 2008.02.05 8864
1045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07
»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바람의종 2010.03.18 10590
1043 風磬 2006.11.06 6902
1042 독촉, 독려 바람의종 2010.10.11 11441
1041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35
1040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681
1039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