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18 06:07

그것을 아시요?

조회 수 9177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것을 아시요?

"요즘 저잣거리에서 유행하는 하오체를 아시오?" 현대국어의 입말에선 잘 사용하지 않던 예스러운 표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사극 열풍을 타고 일부 영화와 방송에서 선보인 옛 말투가 일상어처럼 쓰일 정도로 인기를 끌면서다. 익숙지 않은 표현을 하다 보니 글로 옮기는 과정에서 혼동을 일으키는 사람도 많다. "무슨 말씀을 그리 서운하게 하시요?" "목부터 축이시구료"처럼 표기하는 예가 흔하다. 그러나 이는 '하시오' '축이시구려'를 잘못 적은 것이다.

'-요'는 종결어미가 아니므로 '하시-'처럼 완전하지 않은 말(어간ㆍ선어말어미) 뒤엔 사용할 수 없다. '맘이 없어(요)'와 같이 자립적으로 쓰이는 말(종결어미ㆍ체언) 다음에만 붙을 수 있는, 존대의 뜻을 가진 보조사다. '하시-' 뒤엔 종결어미 '-오'가 와야 한다. '축이시구려' 또한 발음에 이끌려 '-구료'로 쓰기 쉽지만 '-구려'를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잘못 사용하기 쉬운 옛 어투로는 물음ㆍ추측을 나타내는 '-ㄹ꼬'와 강한 부정을 나타내는 '-ㄹ쏘냐'도 있다. "대체 속내가 무엇일고" "어떻게 널 이길소냐?"처럼 써서는 안 된다. '무엇일꼬' '이길쏘냐'가 바른 표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91
2578 내려쬐다, 내리쬐다 바람의종 2010.03.26 10660
2577 조그만한, 자그만한 바람의종 2010.03.26 10871
2576 뇌살, 뇌쇄 / 다례, 차례 / 금슬, 금술, 금실 / 귀절, 구절 바람의종 2010.03.24 14506
2575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146
2574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33
2573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바람의종 2010.03.23 13154
2572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644
2571 해프닝 바람의종 2010.03.22 10692
2570 앞꿈치 / 뒤꿈치 바람의종 2010.03.19 11795
2569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185
2568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바람의종 2010.03.18 10584
»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177
2566 ~중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153
2565 끝발, 끗발 바람의종 2010.03.17 15621
2564 이음새 바람의종 2010.03.16 10630
2563 하지 말아라, 하지 마라 바람의종 2010.03.16 12357
2562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49
2561 ~다 라고 말했다 바람의종 2010.03.15 12124
2560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71
2559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08
2558 정오(正誤) 바람의종 2010.03.13 11156
2557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