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18 06:07

그것을 아시요?

조회 수 9215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것을 아시요?

"요즘 저잣거리에서 유행하는 하오체를 아시오?" 현대국어의 입말에선 잘 사용하지 않던 예스러운 표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사극 열풍을 타고 일부 영화와 방송에서 선보인 옛 말투가 일상어처럼 쓰일 정도로 인기를 끌면서다. 익숙지 않은 표현을 하다 보니 글로 옮기는 과정에서 혼동을 일으키는 사람도 많다. "무슨 말씀을 그리 서운하게 하시요?" "목부터 축이시구료"처럼 표기하는 예가 흔하다. 그러나 이는 '하시오' '축이시구려'를 잘못 적은 것이다.

'-요'는 종결어미가 아니므로 '하시-'처럼 완전하지 않은 말(어간ㆍ선어말어미) 뒤엔 사용할 수 없다. '맘이 없어(요)'와 같이 자립적으로 쓰이는 말(종결어미ㆍ체언) 다음에만 붙을 수 있는, 존대의 뜻을 가진 보조사다. '하시-' 뒤엔 종결어미 '-오'가 와야 한다. '축이시구려' 또한 발음에 이끌려 '-구료'로 쓰기 쉽지만 '-구려'를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잘못 사용하기 쉬운 옛 어투로는 물음ㆍ추측을 나타내는 '-ㄹ꼬'와 강한 부정을 나타내는 '-ㄹ쏘냐'도 있다. "대체 속내가 무엇일고" "어떻게 널 이길소냐?"처럼 써서는 안 된다. '무엇일꼬' '이길쏘냐'가 바른 표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02
1962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28
1961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328
1960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315
1959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315
1958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313
1957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09
1956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308
1955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308
1954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304
1953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303
1952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302
1951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98
1950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294
1949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94
1948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94
1947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83
1946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83
1945 바람의종 2012.07.27 9282
1944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81
1943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77
1942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74
1941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2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