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16 07:56

이음새

조회 수 10632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음새

따스한 봄볕이 내리쬐는 날 오후 발코니에 있는 화초에 물을 주려고 긴 호스를 꺼내 점검해 보니 호스의 몇 군데와 호스끼리 연결한 이음매에서 물이 새고 있었다. 결국 호스를 갈고 물이 새는 부분을 확실하게 손본 뒤 물을 주었다. 호스나 목재가구, 가스관, 교량 등 어떤 두 물체를 서로 이은 자리(부분)를 '이음매'라고 한다. 이 '이음매'를 '이음새'와 혼동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둘은 뭐가 다를까.

'이 다리는 난간이 심하게 부식돼 사고 우려가 크고, 교량 상판 간 이음새가 10cm가량 벌어져 틈새로 하천 물이 보일 정도로 위험한 노후 교량이다' '위층에서 물을 내릴 때마다 변기 이음새에서 물이 올라오고 오래된 수도꼭지에서는 물이 샌다'에서 쓰인 '이음새'는 '이음매'라고 해야 옳다. '이음새'는 두 물체를 이은 모양새를 가리킨다. 이 '-새'는 걸음새.생김새.쓰임새.차림새의 '-새'와 같은 것이다.

''한국전통가구' 콘텐트는 전통가구의 제작기법 및 목가구의 다양한 이음새와 짜임새 등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해 주고 있어 많은 도움이 된다' '대형 항아리는 가마에서 굽는 과정에서 이음새가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매우 조심해야 한다'처럼 사용해야 올바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9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5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378
1258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84
1257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31
1256 하지 말아라, 하지 마라 바람의종 2010.03.16 12510
» 이음새 바람의종 2010.03.16 10632
1254 클래식 바람의종 2010.03.17 12275
1253 깃들다와 깃들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808
1252 ‘-든지’는 선택,‘-던지’는 회상 바람의종 2010.03.17 12372
1251 끝발, 끗발 바람의종 2010.03.17 15746
1250 ~중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257
1249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2020
1248 상구 울어 싸 file 바람의종 2010.03.18 11674
1247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808
1246 합쇼체 바람의종 2010.03.18 12321
1245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24
1244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바람의종 2010.03.18 10594
1243 오락·문화용어 바람의종 2010.03.19 14421
1242 사인 바람의종 2010.03.19 11277
1241 아내와 부인 바람의종 2010.03.19 10618
1240 옛부터? 바람의종 2010.03.19 14467
1239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28
1238 앞꿈치 / 뒤꿈치 바람의종 2010.03.19 11812
1237 머지않아 바람의종 2010.03.22 112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