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15 07:06

승전보를 울렸다

조회 수 9259 추천 수 2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승전보를 울렸다

"미국은 한국 선수들의 열정에 제압당했다." 한국의 야구 월드컵 4강 진출을 미국 언론은 이렇게 평가했다. 많은 사람이 성취의 조건으로 열정을 꼽는다. 열정도 능력이다. 6월, 다시 한번 뜨거운 가슴으로 독일 월드컵에서도 짜릿한 '승전보'를 울려 주기를 소망한다. 승리의 소식을 전할 때 '승전보를 울리다'고 하는 경우를 간혹 본다. "한국 야구는 투혼을 불사르며 승전보를 여러 차례 울렸다" "월드컵에서 축구대표팀이 승전보를 울릴 때마다 한국에서 태어난 게 자랑스러웠다"처럼 쓰는 예가 있다.

그러나 이는 '승전고를 울리다'를 잘못 표현한 것이다. '승전보(勝戰譜)'는 싸움에 이긴 경과를 적은 기록을 일컫는 것으로 '승전보를 전하다/남기다'와 같이 사용할 수는 있지만 '승전보를 울리다'는 사리에 맞지 않는다. 싸움에 이겼을 때 울리는 북은 '승전고(勝戰鼓)'이므로 "태극전사들이 독일에서 토고ㆍ프랑스ㆍ스위스에 맞서 승전고를 울려 준다면 얼마나 좋을까"처럼 써야 한다. '승전고를 올렸다'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북은 울리는 것인 만큼 '승전고를 울렸다'가 바른 표현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60
1478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72
1477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72
1476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272
1475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85
1474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85
1473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86
1472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287
1471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288
1470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288
1469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290
1468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94
1467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294
1466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95
1465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299
1464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301
1463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301
1462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302
1461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303
1460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05
1459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314
1458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15
1457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