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15 07:06

승전보를 울렸다

조회 수 9263 추천 수 2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승전보를 울렸다

"미국은 한국 선수들의 열정에 제압당했다." 한국의 야구 월드컵 4강 진출을 미국 언론은 이렇게 평가했다. 많은 사람이 성취의 조건으로 열정을 꼽는다. 열정도 능력이다. 6월, 다시 한번 뜨거운 가슴으로 독일 월드컵에서도 짜릿한 '승전보'를 울려 주기를 소망한다. 승리의 소식을 전할 때 '승전보를 울리다'고 하는 경우를 간혹 본다. "한국 야구는 투혼을 불사르며 승전보를 여러 차례 울렸다" "월드컵에서 축구대표팀이 승전보를 울릴 때마다 한국에서 태어난 게 자랑스러웠다"처럼 쓰는 예가 있다.

그러나 이는 '승전고를 울리다'를 잘못 표현한 것이다. '승전보(勝戰譜)'는 싸움에 이긴 경과를 적은 기록을 일컫는 것으로 '승전보를 전하다/남기다'와 같이 사용할 수는 있지만 '승전보를 울리다'는 사리에 맞지 않는다. 싸움에 이겼을 때 울리는 북은 '승전고(勝戰鼓)'이므로 "태극전사들이 독일에서 토고ㆍ프랑스ㆍ스위스에 맞서 승전고를 울려 준다면 얼마나 좋을까"처럼 써야 한다. '승전고를 올렸다'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북은 울리는 것인 만큼 '승전고를 울렸다'가 바른 표현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2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8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733
2006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89
2005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88
200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387
2003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387
2002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85
2001 -씩 바람의종 2010.01.23 9384
2000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2
1999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73
1998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68
1997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63
1996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60
1995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58
1994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57
1993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54
1992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51
1991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50
1990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47
1989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46
1988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46
1987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45
1986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344
1985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