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09 02:30

겨우내, 가으내

조회 수 1025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겨우내, 가으내

속살거리는 바람에 겨우내 움츠렸던 어깨가 들썩인다. 꽃잎들이 떠난 꽃자리엔 어느덧 꽃망울이 방글거리고 섰다. 여름과 가을에게 무성한 잎과 단단한 씨앗을 주기 위해 봄내 나비를 부르고 꽃을 피울 채비를 서두른다. 봄이 왔다. '한겨울 동안 계속해서'라는 의미로 '겨우내'란 말을 많이 쓴다. 사계절이 있는 우리에게는 '봄내ㆍ여름내ㆍ가으내'라는 말도 있다. '봄내'는 봄철 내내, '여름내'는 여름 한철 내내, '가으내'는 한가을 내내란 뜻이다. "무는 열무 때부터 솎아 먹으면 가으내 먹고, 밭에 놔두고 하나씩 뽑아 먹으면 겨우내 먹을 수 있고, 남은 무에서 순을 잘라 먹으면 봄내 먹는다" " 빙어는 찬물을 좋아해 여름내 시원한 호수 바닥에서 살다가 강물이 얼어붙기 시작하면 표면으로 떠오른다"처럼 쓰인다. 이때 '봄내'와 '여름내'는 헷갈릴 게 없으나 '가으내'와 '겨우내'는 '가을내'와 '겨울내'로 잘못 쓰는 경우가 적지 않다. '가을내'는 '가을'과 '내', '겨울내'는 '겨울'과 '내'가 합쳐진 말로 'ㄹ'받침이 탈락한 예다. 중세국어에선 첫소리 'ㄴ'앞에서 'ㄹ'받침은 대개 탈락했는데 가으내.겨우내 등에 이러한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32
3040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01
3039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670
3038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59
3037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07.03.29 8643
3036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450
3035 처음처럼 바람의종 2010.11.01 11461
3034 처리뱅이 바람의종 2011.11.24 12278
3033 처녀치마 바람의종 2008.06.02 6818
3032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22
3031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46
3030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790
3029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8804
3028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35
3027 참다와 견디다 바람의종 2010.08.03 9023
3026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37
3025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41
3024 참공약 바람의종 2012.11.21 17556
3023 참고와 참조 바람의종 2010.08.03 13908
3022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547
3021 참가, 참석, 참여 바람의종 2008.11.02 10489
3020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73
3019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1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