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02 22:23

밥힘, 밥심

조회 수 1282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밥힘, 밥심

"거참, 시원하네." 뜨거운 국물을 마실 때 추임새처럼 따라붙는 아버지의 말씀. 밥상을 물리시며 어머니가 거드신다. "밥이 보약이지, 다 밥심이에요." 도통 와 닿지 않던 부모님의 대화가 이해되기 시작했다면 나이를 먹어 간다는 증거다. '한국 사람은 밥심으로 산다'는 광고 문구를 굳이 떠올리지 않아도 성인 남녀라면 누구나 공감하는 밥의 힘, '밥심'. 그러나 '밥심'이란 말 자체에는 모두 공감할 수 없을 것이다. 사전을 아무리 뒤져도 주먹심도 있고 팔심도 있는데 밥심은 없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주먹심은 '주먹으로 때리거나 쥐는 힘', 팔심은 '팔뚝의 힘'이란 뜻으로 어원적으로 보면 주먹힘, 팔힘이지만 '힘'이 '심'으로 변화한 형태가 널리 쓰이면서 주먹심ㆍ팔심이 표준어가 됐다. 새말은 알고 있던 말에 약간의 변형을 가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밥심'은 사전에 올라 있지는 않지만 국립국어원이 2002년 발간한 신어 목록엔 포함돼 있다. 뱃심ㆍ뚝심ㆍ입심ㆍ뒷심ㆍ뼛심 등과 마찬가지로 '밥+힘'으로 구성된 밥심도 음운 변화를 인정해 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쓰는 데는 별문제가 없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0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90
1940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178
1939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177
1938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175
1937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175
1936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73
1935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170
1934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168
1933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164
1932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160
1931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159
1930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57
1929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53
1928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40
1927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38
1926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38
1925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37
1924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136
1923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31
1922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30
1921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124
1920 오랑캐 風磬 2007.01.19 9116
1919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