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3 14:06

진정코

조회 수 9044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정코

'떠나는 이 마음도 보내는 그 마음도 / 서로가 하고 싶은 말 다할 수는 없겠지만 / … / 너만을 사랑했노라 진정코 사랑했노라…', '그리우면 왔다가 싫어지면 가버리는 / 당신의 이름은 무정한 철새 / 진정코 내가 싫어 그러시나요…'. 대중가요 '석별'과 '당신은 철새'의 노랫말이다. 두 노랫말에 쓰인 '진정코'라는 단어는 널리 쓰이지만 현행 표기법에 어긋난다. '진정(眞正)'으로 고쳐야 옳다. '진정' 뒤에는 접미사 '-코'가 들어갈 수 없기 때문이다. '-코'는 '결단코/한사코/기어코/결코'처럼 일부 한자 어근이나 명사 뒤에 붙어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그런데 '진정'은 그 자체로 '거짓이 없이 참으로'를 뜻하는 부사다. 그러므로 재차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코'가 들어갈 필요가 없다.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진정 행복한 일입니다 / 당신을 이렇게 뵙게 되어 진정 기쁩니다'처럼 써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진정코 사랑한 내 영혼의 첫사랑 / 사법부의 독립을 진정코 외쳤다 / 국민을 진정코 섬기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했다'처럼 강조의 의미로 '진정코'를 널리 쓰고 있다는 점이다. 언어도 살아 움직인다. 단순히 문법적인 이유로 '진정코'를 버려야 하는지는 좀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와 달리 북한에서는 '진정코'를 인정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0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7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414
2116 두루뭉수리 風磬 2006.11.16 7900
2115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901
2114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903
2113 혈혈단신,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8.07.02 7906
2112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907
2111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907
2110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910
2109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14
2108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924
2107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925
2106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25
2105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26
2104 어미 ‘-네’와 ‘-군’ 바람의종 2010.11.01 7926
2103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928
2102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928
2101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929
2100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932
2099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32
2098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935
2097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935
2096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35
2095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