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2 20:01

절절이 / 절절히

조회 수 13558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절절이 / 절절히

'귀또리 저 귀또리 어여쁘다 저 귀또리/어인 귀또리 지는 달 새는 밤의 긴 소리 자른 소리 절절이 슬픈 소리/저 혼자 울어예어 사창에 여윈 잠을 살뜨리도 깨우는구나/두어라 제 비록 미물이나 무인동방에 내 뜻 알 리는 저뿐인가 하노라.'(옛 표기대로 씀) '청구영언'에 나오는, 지은이가 분명하지 않은 사설시조다. 여기 나온 '절절이'는 '마디마디'라는 뜻이 분명하므로 옳게 쓰였다. '자네가 하는 말은 절절이 옳은 말이네'도 바르게 쓰인 예다.

하지만 '학교가 통폐합되는 농어촌 해당 지역 주민들은 마을에 학교가 남아 있어야 할 필요성을 절절이 호소했다' '아버지가 세상을 뜨시고 나서야 더욱더 보고 싶고 절절이 사무치게 그리운 줄 깨달았다'에서의 '절절이'를 '마디마디' '마디마다'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다. 문맥에서 볼 때 '절절하게'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절절히'로 바로잡아야 한다.

'절절이'는 '절절(節節)'에서 온 말로 '절절마다' '마디마디' '마디마다'를 뜻한다. '절절히'는 '절절(切切)하다'에서 온 말로 '매우 간절하게'의 뜻이다. 두 단어는 헷갈리기 쉬우므로 문맥에 걸맞게 구별해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50
2556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69
2555 우리애기 바람의종 2009.04.03 7052
2554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713
2553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854
2552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風磬 2006.09.07 16385
2551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6022
2550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842
2549 우리 민족, 우리나라 바람의종 2009.07.08 9038
2548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277
2547 우려먹다(울궈먹다) 바람의종 2007.03.03 14196
2546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32
2545 우레 바람의종 2007.03.03 9073
2544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9030
2543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78
2542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531
2541 용수철 바람의종 2012.01.23 11230
2540 용수철 바람의종 2007.08.11 7158
2539 바람의종 2008.08.21 7327
2538 욕지거리. 욕지기 바람의종 2009.02.14 9995
2537 요지경 바람의종 2007.08.11 11003
2536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128
2535 요, 오 風磬 2006.09.09 205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