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37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올해는 설 연휴가 길지 않아 귀향길이 힘들 것으로 예상됐으나 생각만큼 막히지는 않았다니 다행이다. 선택한 도로에 따라 길 위에서 힘든 시간을 보낸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오랜만에 친지들을 만나는 것이 위안이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설에는 기제(忌祭)와 달리 밥 대신 떡국을 차려 놓고 차례(茶禮)를 지낸다. 차와 별 관계가 없는데 왜 차례라는 이름을 붙였을까? 이에 대해 성균관에서는 '중국의 옛날 의례를 보면 조상을 가장 간단하게 받드는 보름의 망참(望參)에 차 한 잔만을 올리는 것을 '차례'라고 했는데 우리가 조상을 가장 간략하게 받드는 것이 명절의 예이기 때문에 이에 따라 차례라고 한 것으로 본다'고 설명하고 있다.('우리의 생활예절')

차례를 지내려면 과일이나 생선.고기 등 음식 재료를 마련해야 하는데 이를 흔히 제수용품(祭需用品)이라고 일컫는 걸 자주 볼 수 있다. 하지만 제수(祭需)가 '제사에 쓰이는 여러 재료'라는 뜻이므로 용품을 붙일 필요가 없다. 또한 제사에 쓸 생선이나 고기 등을 꼬챙이에 끼워서 솥에 넣고 찌는 음식을 '꼬지' 또는 '꽂이'라고 쓰지만 이것도 '꼬치'로 적는 것이 바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5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33
2094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857
2093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861
2092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7866
2091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866
2090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869
2089 푸석수염 바람의종 2008.05.08 7873
2088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74
2087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877
2086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877
2085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7878
2084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879
2083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879
2082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883
2081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885
2080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888
2079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888
2078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888
2077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889
2076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893
2075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893
2074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895
2073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8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