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12 03:55

복지리

조회 수 7530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지리

연말연시나 명절에 과음한 뒤 속을 풀기 위해 많이 찾는 음식이 복매운탕이다. 복어는 술독 해소뿐 아니라 성인병 예방에도 좋다고 한다. 복 요리에는 회.탕.찜 등이 있지만 주로 찌개인 매운탕이나 지리로 먹는다. 매운탕은 얼큰하게 끓인 것을, 지리는 고춧가루를 넣지 않고 맑게 끓인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지리'는 우리말이 아니다. '지리(ちり)'는 냄비 요리의 하나를 지칭하는 일본말이다. '즙(汁)'의 일본식 발음인 '지루(じる)'가 변해 '지리'가 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국립국어원은 '복지리' 대신 '복국'이나 '복싱건탕'으로 부를 것을 권하고 있다. '복국'은 다소 어색하지만 '싱건탕'은 '싱거운 탕'의 준말로, 매운탕에 대립하는 개념이므로 잘 어울린다. '복지리'를 '복맑은탕'으로 부르자는 사람도 있다. 고춧가루를 넣지 않아 국물이 맑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복싱건탕'이든 '복맑은탕'이든 일본말로 의미가 잘 와 닿지 않는 '복지리'라 부르는 것보다 낫다. 복 요리보다 가격이 싸 즐겨 찾는 대구탕도 마찬가지다. '대구지리'는 '대구싱건탕' 또는 '대구맑은탕'으로 부르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00
1852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8137
1851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76
1850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51
1849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88
1848 빗어 주다, 빗겨 주다 바람의종 2009.10.06 15895
1847 발발아 바람의종 2009.10.06 6301
1846 날래 가라우! 바람의종 2009.10.06 8442
1845 잎, 잎새, 잎사귀, 이파리 바람의종 2009.10.02 15621
1844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503
1843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324
1842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58
1841 까발리다, 까발기다 바람의종 2009.10.01 10971
1840 '작'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10.01 10736
1839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81
1838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41
1837 싸게 가더라고! 바람의종 2009.10.01 7633
1836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45
1835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81
1834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38
1833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69
1832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66
1831 '전(全), 총(總)'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7 152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