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12 03:55

복지리

조회 수 7517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지리

연말연시나 명절에 과음한 뒤 속을 풀기 위해 많이 찾는 음식이 복매운탕이다. 복어는 술독 해소뿐 아니라 성인병 예방에도 좋다고 한다. 복 요리에는 회.탕.찜 등이 있지만 주로 찌개인 매운탕이나 지리로 먹는다. 매운탕은 얼큰하게 끓인 것을, 지리는 고춧가루를 넣지 않고 맑게 끓인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지리'는 우리말이 아니다. '지리(ちり)'는 냄비 요리의 하나를 지칭하는 일본말이다. '즙(汁)'의 일본식 발음인 '지루(じる)'가 변해 '지리'가 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국립국어원은 '복지리' 대신 '복국'이나 '복싱건탕'으로 부를 것을 권하고 있다. '복국'은 다소 어색하지만 '싱건탕'은 '싱거운 탕'의 준말로, 매운탕에 대립하는 개념이므로 잘 어울린다. '복지리'를 '복맑은탕'으로 부르자는 사람도 있다. 고춧가루를 넣지 않아 국물이 맑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복싱건탕'이든 '복맑은탕'이든 일본말로 의미가 잘 와 닿지 않는 '복지리'라 부르는 것보다 낫다. 복 요리보다 가격이 싸 즐겨 찾는 대구탕도 마찬가지다. '대구지리'는 '대구싱건탕' 또는 '대구맑은탕'으로 부르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27
2094 명태, 이면수/임연수 바람의종 2008.07.06 11128
2093 명태의 이름 바람의종 2010.05.05 10597
2092 몇과 수 바람의종 2010.10.11 7869
2091 몇일, 며칠 바람의종 2008.09.26 6733
2090 모기버섯, 봉양버섯 바람의종 2009.11.19 13697
2089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16
2088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46
2087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704
2086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66
2085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64
208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696
2083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35
2082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9
2081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879
2080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431
2079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45
2078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978
2077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337
2076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98
2075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427
2074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926
2073 목재가구 / 목제가구 바람의종 2009.11.23 132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