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935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학을 떼다, 염병, 지랄

아주 고약한 상황이나 사람에게서 벗어났을 때 '학을 뗐다'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여기에서 '학'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아무리 공부가 지겨워도 '학(學)'을 쓰지는 않았을 테고 '고고하다'는 뜻의 '학(鶴)'을 의미하는 것은 더더욱 아닐 것이다. 여기에서 '학'은 말라리아인 '학질'을 가리킨다. 보통 '학을 떼다'라고 쓰지만 원래 표현은 '학질(을) 떼다'다. '학질(을) 떼다'는 '학질을 고쳐 병에서 벗어나다' '괴롭거나 어려운 상황을 벗어나느라 진땀을 빼다'는 뜻이다. 과거에는 학질이 치사율이 매우 높은 무서운 병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의료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했던 우리 조상은 병에 빗대 여러 가지 말을 만들었다. '지랄하고 있네'의 '지랄'은 지랄병, 즉 경련과 의식 장애를 일으키는 '간질'을 가리키며, 마구 법석을 떨며 분별없이 하는 행동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염병할 놈'처럼 쓰이는 '염병'은 장티푸스를 속되게 부르는 말이다. '학을 떼다'는 표현은 그리 문제 될 게 없지만, '지랄하고 있네' '염병할 놈'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5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2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932
2534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626
2533 외래어의 된소리 표기 바람의종 2012.05.11 11479
2532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549
2531 외래어에서 무성 파열음 표기 바람의종 2010.01.18 10869
2530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91
2529 외래어 합성어 적기 1 바람의종 2012.12.12 20526
2528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바람의종 2011.12.04 10286
2527 외래어 받침 표기법 바람의종 2012.05.07 16358
2526 외래어 / 외국어 바람의종 2012.02.28 12172
2525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633
2524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484
2523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496
2522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1311
2521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382
2520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1420
2519 외곬과 외골수 바람의종 2010.04.13 12964
2518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08.11.18 7842
2517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12.12.03 18015
2516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404
2515 왠지? 웬지? 바람의종 2010.02.22 9757
2514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502
251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13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