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28 12:37

하여, 하였다

조회 수 9286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여, 하였다

유길준이 '서유견문' 서문에서 언문일치를 주장한 이래 꾸준한 운동으로 지금은 문어체와 구어(입말)체가 별반 차이가 없어졌다. 그러나 유독 아직까지 말과 글이 뚜렷하게 차이 나는 것이 '하여'와 '하였다'다. 법률.공문서는 물론 '현 상황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하여야 할지 논의하였다'처럼 일반 글에서도 '하여' '하였다'가 많이 쓰이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이렇게 말하는 사람은 없다. 현재는 그 준말인 '해' '했다'가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다. '하여' '하였다'는 말이 늘어짐으로써 읽는 사람을 따분하게 만든다. 특히 학교에서 초등 교과서는 물론 대학의 논문에 이르기까지 '하여' '하였다'를 사용하고 있다. '하여' '하였다'가 글에 무게를 주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인 듯하나 이는 시대에 뒤떨어진 고리타분한 표현이다. 문장에서 '해'가 반복될 때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하여'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기는 하나 '하여' '하였다'만 고집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주로 학자들이 이런 표현을 애용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512
1962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12
1961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13
1960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15
1959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15
1958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16
1957 눈높이 바람의종 2008.04.09 8118
1956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20
1955 유도리 바람의종 2008.02.18 8121
1954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122
1953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23
1952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29
1951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30
1950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34
1949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135
1948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136
1947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44
1946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45
1945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46
1944 '날으는' 과 '나는' 바람의종 2008.06.09 8147
1943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49
1942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51
1941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