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8 04:17

사잇길

조회 수 6869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잇길

'보리밭 '사잇길'로 걸어가면/ 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 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 고운 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 저녁 놀 빈 하늘만 눈에 차누나.' 즐겨 부르는 가곡 '보리밭'(윤용하 작곡, 박화목 작사)의 노랫말이다.

노랫말이나 시에 맞춤법의 잣대를 들이대기는 뭣한 면이 있지만 여기에 나오는'사잇길'은 '샛길'이 바른말이다. '샛길'은 큰길 사이로 난 작은 길을 말하는데, 한자어로는 '간도(間道)'라고 쓴다. '샛길'은 '사이[間]'의 준말인 '새'와 '길[道]'이 합쳐진 말이다. 발음할 때 [새낄]로 '길'이 된소리가 나므로 '새'에 사이시옷이 붙어 '샛길'이 됐다. 그러나 줄어들기 전 형태인 '사잇길'은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고'샛길'의 잘못으로 규정하고 있다.

'꾸불거리는 샛길이 황토 야산 사이로 나 있다' '샛길로 질러가면 훨씬 빠르다'처럼 쓰인다. '샛길로 빠질 때 인생은 즐겁다' '샛길은 호젓하나 구렁텅이로 빠져드는 길이다' 등과 같이 '샛길'은 의미가 확장돼 정도(正道)에서 벗어난 경우를 나타내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5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1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44
2028 그슬리다, 그을리다 바람의종 2009.02.18 11096
2027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499
2026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99
2025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333
2024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60
2023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90
2022 니자테 너인테 바람의종 2009.02.20 6437
2021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521
2020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719
2019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71
2018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66
2017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34
2016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800
2015 대미관, 대북관 바람의종 2009.02.21 6701
2014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424
2013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752
2012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184
2011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214
2010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696
2009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95
2008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103
2007 덧글, 답글, 댓글 1 바람의종 2009.03.01 74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